정신의학신문 | 장승용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사진_ freepik
사진_ freepik

 

거의 모든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한 번쯤 경험하고 고민하게 되는 문제는 대인관계 문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직장이나 학교 내에서 또는 취미활동이나 새로운 공간에서 만나게 되는 사람들과 어떻게 하면 친밀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을지, 어색해지지 않을지, 우호적인 모습을 형성할 수 있을지를 고민하며 어떤 주제로 대화를 나눌까, 또는 언제, 어디서 만날까 등 다양한 부분에서 고민을 하게 되는 것 같아요.

일명 E 성향이 강한 외향적인 사람들도 겉에서 보았을 때는 어울리는 데 있어 전혀 문제와 고민이 없어 보이지만, 나름대로의 고민을 가질 수 있어요. 그렇다면, 건강한 대인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우선 사람들과의 경계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는 관계 조절 능력이 필요합니다. 건강한 관계를 형성하는 사람들은 대상과 친밀도에 따라 거리를 조율하며 관계를 형성합니다. 기본적으로 인간을 신뢰하지만, 합리적인 의심을 할 줄 알기에 친밀도에 따라 더 깊이 교류하고 관계의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도 합니다.

그다음은 상호 존중의 태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스스로를 존중하는 자기존중감뿐만 아니라 타인을 존중하는 태도를 가지고 있기에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합니다. 즉, 자신에게 좋은 것이라 할지라도 상대는 싫어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상대와 나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점은 관점의 차이이므로 옳고 그름으로 판단하면 안 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상대와 자신의 마음을 헤아릴 줄 압니다. 상대가 부정적인 상황에 처했을 때, 그의 고통을 안타까워하며 위로와 친절을 베풀지만, 상대의 삶을 책임지려 하거나 자신이 통제하면서 주도적으로 해결하려고 하지 않습니다. 상대를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생각할 줄 알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노력과 친절을 베푸는 모습을 보입니다. 

 

사진_ freepik
사진_ freepik

 

그리고 친밀한 관계일수록 갈등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고, 갈등을 풀어 냄으로써 좋은 관계를 형성하고자 노력합니다. 즉, 갈등 상황에 마주하였을 때, 시시비비를 가리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의 마음을 이해하고 다시 연결되는 것을 중요시합니다. 그래서 먼저 나서서 갈등을 해결하려고 하며, 비교적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고자 합니다.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솔직하게 표현하기도 합니다. 자신의 마음에 바탕을 두고 표현하되, 상대를 배려하는 부드러운 솔직함을 보입니다. 따라서 자기 주장이나 거절을 할 때 정중함과 부드러움이 느껴지며, 자신이 좋아하는 것, 취미, 취향 등을 표현함으로써 자신의 세계를 형성하고 이와 비슷한 사람들과 어울리며 관계를 형성하게 됩니다. 자신의 세계가 공고히 형성되어 있기에 인간관계에 매달리지 않고 혼자서도 잘 지내는 모습을 보입니다.

혼자서 잘 지내는 사람이 매력적이고 대인과의 관계도 잘 형성할 수 있다는 말이 있는 것처럼 자신의 세계를 형성하고, 감정을 솔직히 표현해내는 사람이라면 대인관계에서도 어려움 없이 지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물론, 자신의 의견만을 강조하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무시하는 태도를 보여서는 안 되며, 다른 사람의 삶의 방식과 감정 또한 존중해주고 공감해주는 방식이 필요하죠. 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타인을 공감적으로 이해하는 능력은 친사회적 행동, 도덕성, 이타성, 양심의 발달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공격적이고 반사회적 행동을 억제해주며, 타인의 잘못을 쉽게 용서해주는 관대함을 발달시킬 수 있다고 합니다. 

우리 모두 누군가와 어울리는 데 있어 많은 스트레스를 받지 않기 위해 한 번 노력해보는 것이 어떨까 싶습니다.

 

합정꿈 정신건강의학과 의원 | 장승용 원장

[참고문헌] 홍종관. (2016). 효과적인 대인관계를 위한 공감적 이해에 관한 고찰. 초등상담연구15, 563-577.

장승용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합정꿈 정신건강의학과 원장
인하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인하대병원 인턴 및 정신건강의학과 전공의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정회원
한국정신분석학회 정신분석적 정신치료 Master class 수료
전문의 홈 가기
저작권자 © 정신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