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의학신문 ㅣ 전형진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은 물리적 객체나 시스템의 디지털 복제본을 의미하는 개념으로,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분석을 결합하여 현실 세계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반영하고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최근에는 일터에서도 혁신적인 변화의 중심이 되고 있습니다.
2017년 개봉한 영화 ‘스테이션7’은 살류트 7호 우주선이 우주에 서 사고를 당한 후에 돌아오기까지의 과정을 그리고 있습니다. 지상에 있는 살류트 7호가 실물 쌍둥이를 활용하여 문제를 파악하고 대처 방법을 찾는 장면이 등장하지요. 실제로, 1970년 미국에서 발사한 아폴로 13호에서도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상의 실물 쌍둥이를 활용하여 문제 해결책을 찾기도 했습니다.
디지털 쌍둥이를 의미하는 디지털 트윈은 실제 환경과 동일한 디지털 복제본을 만들어 실시간으로 변화와 성과를 분석하고 예측하는 기술입니다. 디지털 트윈의 기본 개념은 2002년 미국 마이클 그리브스 박사가 제품생애주기관리(PLM)의 이상적 모델로 설명하면서 등장했으며, 미국 가전업체인 제너럴 일렉트릭(GE)이 2000년대 들어 이 개념을 도입했습니다.
디지털 트윈은 건물, 기계, 네트워크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디지털 환경에 복제하거나, IoT 센서를 통해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디지털 정보를 업데이트는 것을 의미합니다. NASA의 존 비커스 박사가 디지털 트윈으로 이름을 붙인 것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NASA가 2010년 우주 탐사 기술 개발 로드맵에 디지털 트윈을 반영하면서 우주산업에서 계속 쓰여 왔습니다.
디지털 트윈은 단순한 데이터 시각화에서 벗어나, 실제 업무 프로세스를 최적화하고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항공, 건설, 헬스케어, 에너지, 국방, 도시설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항공기가 비행하면서 겪게 되는 환경 정보를 수집해 디지털 트윈에 적용하면 환경이 항공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기기 고장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일터에서 디지털 트윈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첫째, 스마트 오피스 환경 구축
디지털 트윈을 통해 사무실 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실시간 데이터 분석을 통해 최적의 온도 및 조명 조건을 설정하고, 직원들의 동선과 공간 활용도를 분석하여 업무 환경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더 좋은 업무 환경을 개선해 나가기 위해서 디지털화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둘째, 생산성 향상 및 업무 프로세스 최적화
업무 흐름을 디지털 트윈으로 모델링하여 비효율적인 요소를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협업 패턴을 분석하여 팀 간 소통을 원활하게 만들거나, 반복적인 업무를 자동화하여 직원들이 보다 창의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습니다. AI 기반 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최적의 업무 프로세스를 설계하고, 직원들에게 맞춤형 업무 조언이나 의사결정을 제공할 수도 있습니다.
셋째, 인적 자원 관리 및 직원 경험 개선
디지털 트윈을 활용하면 직원의 업무 패턴을 분석하여 맞춤형 피드백과 교육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직무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개인화된 업무 환경을 조성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보다 구체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넷째, 안전 및 리스크 관리 강화
직장 내 안전을 개선하는 데 디지털 트윈이 활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공장이나 건설 현장에서 작업자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사고 위험을 사전에 감지하고 예방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실내 근무자들의 피로도를 분석해 적절한 활동들을 계획해 볼 수도 있습니다.
디지털 트윈 기술은 실시간 데이터에 의존하므로,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이 중요합니다. 또한, 직원들의 업무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프라이버시 보호 및 보안 문제를 철저히 관리해야 하겠지요. 새로운 기술이 성공적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직원들의 이해와 협력이 필수적일 것입니다.
디지털 트윈 기술이 잘 정착된다면, 직장 환경은 보다 스마트하고 효율적으로 변화해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AI와 자동화 기술과 결합하여 직장 환경을 최적화하고 혁신적인 업무 방식을 도입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신림평온 정신건강의학과 의원 ㅣ 전형진 원장
국립공주병원 전공의 수료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정회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