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의학신문 | 최강록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사진_ freepik
사진_ freepik

 

여러분은 여러분의 요구를 주변 사람들에게 얼마나 잘 표현하시나요? 동료들과 점심 메뉴를 고를 때, 친구들과 함께 갈 여행지를 선정할 때, 배우자와 이번 주말을 어떻게 보내고 싶은지 등등. 여러분의 의견을 사람들과 자연스럽게 교환하며 요구를 표현하시나요? 아니면 마음속에 원하는 바가 따로 있지만 마지못해 다른 이들의 의견에 응하거나, 원하는 바를 분명히 밝히지 않고 상대가 멋대로 한다며 뒤에서 불평불만을 늘어놓지는 않나요? 

물론 모든 상황이나 관계에서 우리는 나만의 욕구를 충족하거나 관철시킬 수만은 없으며, 때로는 다른 사람의 욕구가 우선시되거나 상호 존중하며 조율해 가는 과정을 통해 서로 간의 욕구를 수용하고 충족하는 방법을 배우게 됩니다.  

하지만, 너무 자기 위주로 상황을 몰아가거나 매번 자신의 요구가 충족되어야 한다고 여기는 것만큼이나, 자기의 요구를 내색하지 않거나 분명하게 표현하지 않는 것도 바람직한 소통 방법은 아닐 텐데요, 특히 연인이나 가족처럼 가까운 사이일수록 문제를 발생시킬 소지가 다분합니다. 

어떤 분들은 상대에게 자신의 필요나 요구를 정확하게 밝히지 않고 상대가 자신의 욕구에 부합하지 않는 행동을 하면 빈번하게 화를 내거나, 상대를 비꼬는 말을 하는 등 수동공격성(Passive-Aggressiveness)을 표출하며 간접적으로 분노를 표출합니다. 그러나 이렇게 표현되지 않고 충족되지 않은 욕구가 간접적인 방식으로 잘못 표현될 때, 상황은 모호해지고 상대방 역시 이러한 행동을 하는 상대의 정확한 의도를 파학하지 못해 관계가 안 좋아지는 위험에 빠질 수 있죠.  

따라서 충족되지 못한 욕구 때문에 화가 날 때는 잠시 멈춰 서서 자신의 요구나 필요, 상대방에게 기대한 것이 무엇이었는지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이렇게 자신의 요구를 인식하는 연습을 할수록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간에 화나는 감정을 조절하고, 자신의 숨겨진 욕구나 필요가 무엇인지 알아차림으로써 타인에게 제대로 요구할 수 있게 됩니다.

 

사진_ freepik
사진_ freepik

 

우리가 누군가에게 요구할 때는 크게 다음의 네 가지 형태로 나뉘는데요, 이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상대에게 꼭 표현해야 하거나 나에게 중요한 요구에 대해 한번 더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① 중요하면서 합리적인 요구

팀 내에서 과도한 업무를 계속 떠맡게 됐을 때 팀장에게 적당한 양의 업무를 요구하거나, 가족 구성원에게 무시당하거나 폭언을 듣는 경우 존중받을 권리에 대한 요구, 배우자에게 사랑받고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처럼 정당하고 합리적인 요구 등을 말합니다.

 

② 합리적이지만 중요하지 않은 요구

남편이 아내에게 세탁물의 세탁을 부탁할 때 동네에서 가격이 가장 저렴한 세탁소에서 해 줄 것을 요구했지만, 시간적 여유가 없던 아내가 집에서 가장 가까운 세탁소에서 세탁했다면, 이는 남편에게 있어 합리적이지만 중요하지 않은 요구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③ 비합리적인 요구

회사에 입사한 지 일 년밖에 안 된 신입 사원이 팀에서 무척 중요한 업무를 맡게 해 달라고 요구하거나 연봉 협상에서 무리한 금액을 인상해 달라고 하는 것과 같이 이치에 맞지 않는 요구가 해당됩니다. 

 

④ 불가능한 요구

자녀에게 시험마다 매번 1등을 놓치지 않도록 요구하거나, 남자 친구가 항상 나의 요구를 들어줘야만 한다거나, 직원들이 업무 시에 절대로 실수하면 안 된다고 생각하는 사장의 경우 상대에게 불가능한 요구를 하고 있는 셈입니다. 

 

타인에게 무언가를 요구하는 게 어렵게 느껴지는 분들은 상대에게 자신의 요구를 밝혔을 때 수용되지 못하거나 거절당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관계가 틀어질 수도 있다는 걱정이 앞서는 경우가 많습니다. 거절에 취약하고 소심한 성격이나 타인을 배려하는 것을 넘어서 눈치를 과하게 보는 성격, 과거에 중요한 대상에게 자신의 욕구나 요구를 충분히 표현하고 수용받았던 경험이 부족한 경우에도 상대에게 무언가를 요구하는 게 쉽지 않을 수 있죠.

물론 언제나 우리의 요구를 다른 사람에게 알릴 필요는 없습니다. 또 우리의 요구가 항상 타당한 것도 아니며, 현실적으로 상대로부터 거부당하거나 충족되지 못하는 경우도 있겠죠. 하지만, 자신의 중요한 욕구나 요구를 밝히지 않아서 생길 수 있는 일들은 스스로 인지하고 그에 대한 책임 역시 본인에게 상당 부분 있음을 받아들여야겠죠.

우리에게 중요하고 친밀한 관계일수록 서로에게 중요한 욕구가 충족되지 못한다면, 그 관계가 오랫동안 만족스럽게 유지되란 어렵습니다. 여러분의 인생에서, 또는 상대와의 관계에서 중요하지만 충족되지 못한 욕구나 바람은 무엇인지, 그것이 타당하고 무리하지 않은 요구라면 오늘부터 하나씩 요구하는 연습을 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 지금껏 표현되지 못하고 채워지지 않았던 여러분의 욕구가 조금씩 채워질 수 있기를… 행운을 빕니다. 

 

사당숲 정신건강의학과 의원 | 최강록 원장

----------

참고문헌: 레너드 셰프 외 공저(2018). 나는 오늘부터 화를 끊기로 했다. 생각의서재.

최강록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사당숲 정신건강의학과 원장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한양대 의과대학 학사, 석사
(전)의료법인 삼정의료재단 삼정병원 대표원장
한양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외래교수
전문의 홈 가기
  • 애독자 응원 한 마디
  • "선생님 경험까지 알려주셔서 더 와닿아요.!"
    "조언 자유를 느꼈어요. 실제로 적용해볼게요"
    "늘 따뜻하게 사람을 감싸주십니다"
저작권자 © 정신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