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의학신문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전진용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Q. 강박증은 어떻게 치료할 수 있나요?

A. 지난번 강박증은 세로토닌과 관련되어 뇌에서 나타난다고 말씀을 드렸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를 사용을 하거든요. 이 약을 SSRI이라고 합니다.

‘강박증인데 심리상담 같은 걸 해야 하는 거 아닌가요?’ 이렇게 생각하시는데, 약을 쓰면 신기하게도 강박행동이나 강박사고가 줄어들게 되거든요. 그다음에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와 함께 향정신병 약물을 같이 사용을 해서 치료를 하게 됩니다. 

 

Q. 그런데 경험에 의해서 많이 일어나는 강박증은 약으로만은 치료가 힘들지 않을까요?

A. 그래서 인지행동 치료를 하게 되는데요. 강박증의 핵심 자체가 어떤 행동을 안 했을 때 굉장히 불안하게 되거든요. 그런데 사실은 그걸 안 했을 때 불안하긴 하지만, 뭔가 큰일이 일어나거나 그러진 않거든요. 그래서 이런 부분들은 뇌에서 알 수 있도록 계속해서 교육을 하고 인지교정을 하는 거죠. 예를 들면 청결하지 못한 행동을 했을 때 세균이 나에게 병을 일으키게 한다는 건 아니라는 접근을 해서 교정을 하는 거고요. 전통적인 정신치료나 상담요법을 시행하기도 하지만, 주로 약물치료와 인지행동 치료를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 강박증에 많이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Q. 강박증 환자들을 24시간 관찰치료를 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쉽게 설득이 되지는 않을 것 같은데요?

A. 일단은 병원까지 오게 되면 약물치료만으로도 굉장히 고통감이 줄어들게 되거든요. 약을 먹는다고 한순간에 완전히 달라지는 것은 아니지만 점점 좋아질 수 있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고통스러운 증상이 있다면 병원에 방문하셔서 상담을 하고, 증상에 맞는 약물 치료나 인지활동 치료, 상담 요법을 통해서 바뀔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사진_픽사베이


Q. 누구나 어느 정도의 강박은 있지만 강박장애라고 하기엔 애매한 경계에 걸친 분들이 있을 거 같아요. 스스로 고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A. 증상을 스스로 고쳐서 병원에 오지 않을 정도까지가 되면 그건 강박증이 아니고요. 강박증으로 진단받을 정도가 되면 스스로 하려고 해도 잘 안될 정도까지 된 거거든요. 예를 들어 어떤 행동을 강박적으로 자꾸 하게 되는 사람이 ‘내일부터 그 행동을 하지 말아야겠다.’라고 생각해서 안 하게 되면 병의 수준까지는 아닌 거죠. 그런데 그런 마음을 먹고 실천하려고 하면 너무 괴롭고, 마음을 다잡지만 또 행동하게 되는 정도라면 병원까지 와야 되는 거죠.

 

Q. 강박증으로 고민이신 분들 많으실 거 같거든요. 그런 분들을 위해서 마지막으로 한 말씀해주세요.

A. 강박증이라는 것이 본인이 처음에는 치료가 될까 생각을 하지만, 일단 병원에 와서 약을 먹고 치료를 받게 되면 일상생활에서의 삶의 질이 많이 달라지거든요. 일상생활에 불편감이 있었던 것들이 많이 나아질 수가 있어요. 조금이라도 의심이 되면 병원을 찾아와서 상담도 하고 평가를 받고 거기에 맞는 치료를 하는 게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저작권자 © 정신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