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감기, 우울증 - 종류

[정신의학신문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서화연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Q. 우울증에도 종류가 있을까요?

A. 네. 그렇습니다. 우울증이라는 큰 진단의 카테고리를 여러 가지로 나누려는 노력을 지금까지 많이 했습니다. 그런데 그중에 몇 가지가 다른 우울증과는 분리되는 우울증으로 나타나게 되는데요.

첫 번째로 흔한 것은 산후 우울증입니다. 예전에는 아이를 출산하고 나서 우울증이 온다고 생각했는데, 연구가 쌓이면서 아이를 출생하고 나서 뿐만 아니라 임신하고 있을 때, 아이를 출산하는 과정, 그리고 출산 후까지 우울증이 나타날 수 있다고 하여서, 지금은 주산기 우울증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그래서 임신, 출산과 연관된 우울증이라고 생각을 하시면 됩니다. 이 우울증의 특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요. 임신에 관련된 남편의 태도, 좁은 집, 세 명 이상의 자녀. 이런 것들이 위험 요인으로 꼽히고 있고, 출산과 동반한 호르몬의 변화도 우울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 다른 우울증으로는 보통 갱년기 우울증이라고 하는, 중년 여성에게서 나타나는 우울증이 있습니다. 이 우울증은 다른 우울증과는 달리 굉장히 심한 식욕의 저하, 그리고 불면증으로 나타나는 특징들을 가지고 있고, 이것 또한 역시 호르몬의 변화라든지, 아니면 다른 원인이 있습니다.

또 다른 우울증으로는 비전형적인 우울증이라는 것들이 있습니다. 지난 글에서 말씀드릴 때 증상에서 식욕이 늘거나 줄거나, 혹은 잠이 늘거나 줄거나라고 말씀드릴 때 조금 이상하다고 생각을 하실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이건 비전형적인 우울증도 함께 포함하기 위해서 그런 증상들을 말씀드린 것입니다. 비전형적인 우울증은 다른 우울증과 달리, 보통은 식욕이 줄어들고 불면을 호소하는 다른 우울증과 달리 식욕이 늘어나고 과수면 증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이런 우울증은 후에 보면 조울증에서 나타나는 우울증으로 밝혀지는 경우가 많이 있어서, 비전형적인 우울증이라고 합니다.

 

사진_픽사베이

 

Q. 얘기 들어보니까 여성분들은 임신과 출산할 때도 우울증에 좀 조심해야 할 거 같고, 갱년기가 됐을 때도 좀 조심해야 할 거 같고, 우울증에 여성이 조금 더 예민해야 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호르몬의 문제일까요?

A. 굉장히 좋은 지적을 해주셨는데요. 우울증의 유병률을 보면 실제로 여성이 남성보다 2배 정도 많이 걸린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사회적 요인과 생물학적 요인이 있는데요. 생물학적 요인은 방금 말씀해주신 여러 가지 호르몬의 변화에 여성이 취약한 점도 있을 거 같고요. 사회적으로 불평등한 구조가 누구나 공통으로 발견이 되기 때문에, 여성의 우울증이 남성보다 유병률이 높다 더 잘 걸린다는 특징들은 문화에 상관없이 공통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Q. 그렇군요. 조금 더 조심해야 할 가능성이 있겠습니다. 우울증이 다른 어떤 합병증을 또 불러일으킬 수 있는 건가요?

A. 우울증은 불안과 굉장히 많이 동반되어 나타납니다. 그래서 불안을 함께 호소하는 사람들도 많이 있고요. 많게는 90%까지 불안을 함께 호소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우울증을 앓고 있을 때는 불안함을 함께 호소하는 분들이 매우 많고요. 이것이 조금 더 깊어지면 공황발작을 동반하는 우울증도 가능합니다.

 

Q. 요즘 현대인들 ‘번아웃 증후군’ 얘기 많이 하잖아요. 번아웃 증후군에 대해서도 조금 더 이야기를 듣고 싶습니다.

A. ‘소진 증후군’, 혹은 ‘번아웃 증후군’이라고 하는 이 증상을 많이 호소하고 있습니다. 현대사회가 워낙 경쟁적이고 힘들어서 열심히 일하던 분들이 에너지가 없음을 호소하는 경우가 매우 많은데요. 현재 연구에서는 우울증과 겹치는 부분이 꽤 된다고 이야기합니다. 이것을 같은 질병으로 볼 것인가, 아니면 함께 일어나는 현상으로 볼 것인가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질병이라고 보는 것이 현재의 정서이지만, 번아웃 증후군이 있을 때는 합병증으로 우울증이 많이 발생한다고 이해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Q. 그렇다면 치료도 우울증과는 조금 다르게 진행될 수도 있는 건가요?

A. 우울증의 증상이 있을 때는 치료를 하셔야 하고, 일단 쉬는 것이 가장 긍정적인 치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정신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