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의학신문 ㅣ 우경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새해가 시작되고 연휴의 달콤한 시간이 끝나갈 때 많은 이들은 '홀리데이 숙취(Holiday Hangover)'를 느낀다고 합니다. 휴가를 마치고 일상으로 돌아왔을 때 느끼는 심리적 변화의 이유과 극복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연휴의 기간 동안 많은 사람들은 가족 또는 친구들과 즐거운 시간을 보냅니다. 여행을 떠나기도 하고 즐거운 대화를 나누기도 하며 그동안의 긴장을 내려놓게 되지요. 휴가 동안의 여유로운 상황에서, 즉 이완이 된 상태에서 업무를 시작하게 될 때 느끼는 심리적인 증상을 ‘홀리데이 숙취(Holiday Hangover)’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이 기간의 즐거운 순간들이 지나고 현실로 돌아와 업무와 일상을 시작하게 되면, 갑작스러운 변화에 대한 스트레스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같은 환경에서 같은 일을 하는데도 말이지요. 동기부여나 목표가 사라진 것처럼 느껴져 빈둥거리거나 방황하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휴식을 하는 동안에는 우리가 기쁨이나 행복을 많이 느끼지만, 휴가가 끝나갈 무렵이 되면 그 감정들이 희미 해지며 조금씩 불안하거나 우울감이나 무기력한 감정을 느끼기도 합니다. 일상으로 돌아왔을 때 긍정적인 기억들이 조금씩 사라지고 해야 할 일들을 마주할 때 중압감이 더 커진듯한 느낌이 들기도 하지요.
그렇다면 이러한 홀리데이 숙취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요?
첫째, 현실적인 작은 목표를 설정해 보세요.
휴가가 끝나기 전이나 끝난 직후에 현실적인 작은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상으로 돌아왔을 때의 변화와 업무에 대한 부담을 미리 예측하고 준비함으로써 심리적인 충격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둘째, 긍정적인 기억 강화하는 작업을 해보세요.
휴가 동안의 즐겁고 행복한 순간들을 기억하고 그 기억을 오래 유지할 수 있는 작업은 긍정적인 감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휴식을 하는 동안에 경험한 것들에 대해 가족이나 친구들과 다시 이야기를 나누거나, 그 시간을 사진이나 글로 기록해서 다시 기억을 상기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그 순간들을 일상에 녹여내는 노력을 기울이면 좋습니다.
셋째, 새로운 목표와 계획을 수립해 보세요.
일상으로 돌아오면서 새로운 목표와 계획을 수립하는 것은 동기부여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새로운 도전을 통해 무기력해진 기분을 깨뜨리고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습니다.
넷째, 잠시 셀프 케어의 시간을 가져 보세요.
휴가 동안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였던 셀프 케어 습관들을 유지하려 노력하세요. 충분한 휴식, 올바른 식사, 운동은 신체적, 정신적인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휴가 기간 동안 명상에 대한 책이나 영상을 보는 것으로 셀프 케어의 기술을 익혀 둔다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다섯째, 일상 속에서도 소소한 즐거움 찾아보세요.
많은 분들이 일상과 휴가를 분리해서 생각하곤 합니다. 휴가 기간에 느꼈던 즐거움과 여유를 찾아 일상 속에서도 소소하게 실천해볼 수 있습니다. 아침에 향긋한 커피를 마시거나, 잠시 시간을 내어 산책을 하는 등의 일상의 작은 순간들을 주의 깊게 활용한다면 다시 돌아온 일상도 나쁘지 않게 느껴질 것입니다.
'홀리데이 행오버'는 이완되었던 우리의 신체와 마음이 일상으로 돌아오면서 스트레스에 직면하는 현상이지만, 적절한 대처와 전략을 통해 조금 더 빠르게 극복할 수 있습니다. 휴식을 통해 얻은 에너지와 경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시작을 해 나갈 여러분을 응원합니다.
강남숲 정신건강의학과 의원 ㅣ 우경수 원장
대구가톨릭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공의
- 애독자 응원 한 마디
-
"읽는 것만으로 왠지 위로가 됐어요. 뭐라도 말씀드리고 싶어서 댓글로 남겨요. "
"게을렀던 과거보다는 앞으로 긍정적으로 열심히 살아야겠다는 동기부여가 되네요. "
"글 잘 읽고 있습니다. 다음 편이 기대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