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의학신문 | 우경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지난 한 해를 정리하면서, 여러분은 어떤 날들을 보내셨나요? 직장에서는 연말 결산과 회식으로, 사랑하는 가족, 연인 그리고 친구들과는 연말 모임이나 크리스마스 파티 계획으로 조금은 들뜨고 바쁜 시간을 보내시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또 작년 한 해 특별한 이슈나 중요한 성취가 있었는지, 그것이 자신에게 어떤 의미였는지, 유독 아쉽게 느껴지거나 반성할 만한 일은 없는지, 고마운 분이나 신세를 진 분은 없는지 등등. 조용히 가는 해를 돌아보는 시간을 가지셨던 분들도 계시리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한 해가 얼마 남지 않았다는 조급함, 그나마 남은 시간을 좀 더 효율적으로 써야 한다는 압박감, 그간 소원했던 분들을 챙겨야 한다는 의무감 등으로 홀로 고요히 성찰하는 시간을 갖는 일이 요원하게만 느껴졌던 분들도 계실 것 같습니다. 게다가 요즘같이 자기 긍정과 자존감을 높이기 바쁜 시대에 ‘성찰’이라고 하면, 어딘가 모자라고 부족한 내 모습을 인정하고 자기반성의 시간을 가져야 할 것만 같은 불편감과 거부감이 들 수도 있을 듯합니다.
그리고 어느새 빠른 속도와 높은 성과를 내는 데 익숙해진 우리에게 인간관계나 일과 같은 삶의 영역이나 소소한 일상, 그 속에서 나의 행위를 돌아보며 성찰하는 일이 왠지 모르게 조금은 낯설고 또 어렵게만 느껴지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럼에도 왜 우리에게는 성찰하는 시간이 필요한 걸까요?
§우리가 성찰해야 하는 이유, 성찰의 힘
한 연구에서는 참가자들에게 약간의 전략과 반복이 필요한 과제를 수행하도록 요청했습니다. 그리고 1차 수행이 끝난 후에 연구진은 피험자들에게 휴식 시간에 그 과제를 미리 연습하거나, 이전의 과제 수행 내용을 돌아보며 무엇을 잘했고 잘못했는지 성찰해 보는 것 중 하나를 선택하게 했죠. 그 결과, 성찰보다 연습을 선택한 사람이 네 배나 많았습니다. 사람들이 가만히 앉아서 충분히 사고하는 성찰의 시간을 갖기보다는 직접 과제를 훈련하는 게 더 효과적이라고 판단한 것인데요, 실제로도 그랬을까요? 결과적으로는 성찰을 선택한 참가자들이 연습을 선택한 사람들에 비해 과제 수행 결과가 더 좋게 나타났습니다.
성찰의 효과를 입증해 주는 또 다른 실험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한 실험에서 연구자들은 피험자들에게 여섯 가지 감정 조절 전략을 사용하도록 요청했습니다. 결과는 어땠을까요? 피험자들에게 사용하도록 한 여섯 가지 감정 조절 전략 중 성찰은 상대적으로 강력한 전략으로서 긍정적인 감정이 증가하고,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더 효과가 높은 전략으로 판명되었죠.
이러한 실험 결과들은 성찰이 인간의 수행 능력 및 성과를 높이는 데 있어서 효과적인 전략이라는 사실을 잘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찰의 효과가 명백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성찰하는 것을 미룰 수 있을 때까지 미루고, 피할 수만 있다면 피하고 싶은 일명 ‘성찰 기피증’ 증상을 보이는 분들도 있으실 것 같습니다.
조직이론 전문가인 데이비드 화이트(David Whyte)는 “속도가 우리의 핵심 역량이자 핵심 정체성이 되었고,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자신의 고통과 취약성을 멀리하게 되었다.”라고 주장합니다. 그의 주장처럼 우리의 경험이나 취약점, 우리를 고통스럽게 하는 문제 등을 더 이상 외면하지 않고 이에 대해 깊이 있게 성찰할 수 있을 때, 우리는 성장을 향해 한 발짝 다가갈 수 있을 것입니다.
이처럼 성찰은 때때로 우리에게 일어난 일이나 경험, 행위 등을 올바로 이해하고, 그 과정에서 행해진 실수나 취약점을 인정함으로써 새로운 인식과 방식의 접근을 통해 통찰과 성장을 향해 나아가게끔 합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성찰해야 하는 것은 과연 무엇이며, 어떻게 성찰하는 것이 좋을까요?
1. 체계적으로 성찰하라
세계 최고의 국방력을 자랑하는 미국 군대는 ‘사후검토(After-Action Review)’라는 체계적인 성찰을 꾸준히 해 온 것으로 유명합니다. 그들은 특정한 작전을 수립하거나 훈련 또는 임무를 수행한 후에 모두가 한 자리에 모여 사후검토라는 성찰 시스템을 통해 토론하고, 이를 통해 교훈을 얻죠.
2. 특정한 경험을 성찰하라
우리가 일상에서 하는 모든 경험을 성찰할 필요는 없을 것입니다. 대신에 우리 삶에서 특별한 의미가 있던 경험(긍정적인 경험이든 고통스러운 경험이든), 일적으로 중요하지만 실패했던 경험, 친밀하고 소중한 관계에 있는 사람과의 반복되는 갈등처럼 자신에게 비중 있는 관계나 경험에 관해 성찰하는 것은 의미가 있습니다.
3. 규칙적으로 성찰하라
바쁜 일상 속에서 성찰하기 위한 시간을 따로 마련하기란 쉽지 않은데요, 가장 좋은 것은 ‘성찰’을 마치 하나의 루틴처럼 일주일에 하루 혹은 하루에 한 번 잠자리에 들기 전 30분처럼 시간을 정함으로써 성찰에 대한 습관을 들이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처럼 의례적인 성찰이 부담스럽다면, 출퇴근 시간이나 샤워 시간처럼 때때로 주어지는 빈 일정이나 틈나는 시간을 활용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4. 감정을 성찰하라
어떤 경험을 하거나 누군가와 시간을 보낸 후에, 혹은 특정한 업무나 프로젝트를 이끌어 가는 중간에도 우리는 평소와는 다른 몸의 컨디션이나 강렬한 감정 상태에 휩싸이게 될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는 이런 몸과 감정의 상태에 주목해 지금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이것이 주는 메시지는 무엇인지, 그 근원은 무엇이고, 앞으로 어떻게 대처하거나 풀어 나가면 좋을지 자문해 볼 수 있습니다.
5. 성찰 일지를 기록하라
특정한 경험이나 문제 등이 떠올랐다면 그것을 잊어버리기 전에 간단하게라도 성찰 일지에 기록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가능하다면 바로 그 주제에 대한 성찰을 이어 가도록 하고, 다른 바쁜 일이 있거나 시간이 여의치 않다면 따로 시간을 내서 일지에 기록해 뒀던 주제에 관해 성찰하는 시간을 갖도록 합니다. 그 주제에 관한 특이 사항, 자신의 생각과 감정, 반응, 행동 방식 등을 기록하면서 그때그때 떠오른 아이디어나 성찰한 내용을 기록해 두면, 이후에 비슷한 상황이 벌어졌을 때 실제로 도움이 되거나 유용한 참고 자료로도 활용이 가능합니다.
6. 사람들과 함께 성찰하라
주변에 믿을 만한 친구나 선배, 멘토 등이 있다면, 일대일로 만나 성찰하거나 그룹을 만들어서 주기적으로 성찰을 위한 모임을 가지는 방법을 시도해 볼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여러 사람들과 함께 특정 주제를 대상으로 주기적으로 성찰하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성찰을 일상화하고, 다양한 견해와 아이디어, 피드백을 들어 봄으로써 개인적인 성찰에 대한 객관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자신이 한 일을 깊이 되돌아보는 성찰의 과정은 때때로 번거롭고 고단한 작업으로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보다 더 만족스럽고 행복한 인생을 꿈꾸거나 성장하는 삶을 살기를 원하는 분이라면, 성찰을 위한 시간을 꼭 가져 보시기 바랍니다. 이러한 성찰의 시간을 통해 여러분의 생각과 마음, 과거와 미래, 인생의 목표와 가치 등을 더 깊이 들여다보고 삶의 만족감이 더 커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강남숲 정신건강의학과 의원 | 우경수 원장
참고문헌
1. 수잔 애쉬포드(2023). 유연함의 힘. 상상스퀘어.
2. David Whyte(2002). Crossing the Unknown Sea. New York: Riverhead Books.
3. Karen Brans, Peter Koval, Philippe Verduyn, Yan Lin Lim, and Peter Kuppens(2013). “The Regulation of Negative and Positive Affect in Daily Life”, Emotion 13.
대구가톨릭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공의
- 애독자 응원 한 마디
-
"읽는 것만으로 왠지 위로가 됐어요. 뭐라도 말씀드리고 싶어서 댓글로 남겨요. "
"게을렀던 과거보다는 앞으로 긍정적으로 열심히 살아야겠다는 동기부여가 되네요. "
"글 잘 읽고 있습니다. 다음 편이 기대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