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의학신문 | 최강록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어떠한 대상에 대해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평가는 우리가 좋은 것과 나쁜 것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데요, 부정적인 평가가 지나친 경우를 냉소주의라고 하죠. 지나친 냉소주의는 동기와 기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 우리 행복감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냉소주의를 잘 다루는 방법에 대해 다뤄 보도록 합니다.
일터나 개인적인 관계에서 의견에 대해 냉소적인 태도를 보이는 사람들을 만나게 되는데요, 냉소적인 사람들은 서로가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 보다는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고 예상되는 행동에 대해 이야기함으로써 결정을 어렵게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냉소적인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스스로 타인에게 등을 돌리는 것이 스스로를 보호하는 전략이라고 여기지만, 실제로는 다른 사람과 상황이 자신의 기대를 채우지 못하는 상황을 만들어 대인관계와 자신의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콜롬비아 대학 말리아 메이슨(Malia Mason) 연구팀은 냉소주의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는데요, 해당 연구에 따르면 타인의 정직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이 중요한 문제를 협상할 때 부정직하게 협상하는 가능성이 많다고 합니다. 장기적으로는 누군가로부터 도움받을 수 있는 기회를 스스로 박탈시켜 불리한 상황에 놓이게 되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일상에서 만나는 냉소주의는 어떤 특징들을 가지고 있을까요?
첫째, 맹목적으로 불신하는 성향을 보입니다.
냉소주의자들은 자신의 경험이 일에 대한 가능성을 적절히 평가하고 있다고 믿으며, 자신의 냉소적인 평가가 경험을 통해 얻게 된 하나의 지혜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자신과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특징을 가집니다. 타인과 상황에 대한 부정적인 면을 더 크게 들여다보는 안경을 쓰며, 협력자와 부정행위자를 잘 구분하지 못한다고 합니다.
둘째, 냉소주의는 환경과 상호작용합니다.
자신이 속해 있는 환경은 냉소주의를 만드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이를테면, 자신이 속한 조직이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성과 보상 시스템은 때때로 성취를 위한 시간을 ‘제로섬 게임’으로 느끼게 하기도 합니다. 직원들이 열심히 해서 좋은 성과를 내는 것보다, 동료를 깎아 내리는 것이 오히려 더 나은 보상이라 느낄 때 냉소주의는 강화됩니다. 보상이 적절히 주어지지 않는 경쟁은 창의력을 발휘하지 못하도록 하며, 조직이 가진 가능성과 힘을 숨기게 될 수 있습니다.
셋째, 자유의 박탈은 냉소주의를 강화합니다.
조직이나 가정에서 자유가 박탈되는 환경에 놓일 때, 사람들은 상대를 덜 신뢰하고 의욕의 저하를 느낄 가능성이 많아집니다. 제한된 자유 속에서 혁신적인 일을 추진하기보다는 회피를 선택하고, 주변의 지인과 동료들을 감시하거나 압박할 가능성이 더 커지게 됩니다. 자유가 박탈되는 것은 사람들이 최소한의 일만 하면서, 환경을 탓하는 냉소주의를 발달시키는 기회가 됩니다.
넷째, 소중한 관계와 가까워지기 어렵고 멀어지게 됩니다.
끊임없이 불평하거나 자주 빈정거리는 사람들은 암묵적으로 자신과 비슷한 사람들과 교류하게 됩니다. 부정적인 말과 생각을 쏟아내는 사람들에게 동일한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갖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은 가급적 피하려고 노력합니다. 비관주의자들을 설득하거나 그들과의 교류 속에서도 긍정적인 마음을 유지하는 것은 하나의 도전이며 많은 에너지를 갈아먹기 때문에, 비슷한 비관주의자들끼리 교류하며 서로의 생각을 강화시키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이처럼 냉소주의가 만연하는 상황에서 사람들은 사기가 저하되고 행복함을 덜 느끼게 되는데요, 그렇다면 이러한 냉소주의를 어떻게 해결해 나갈 수 있을까요? 세 가지 팁을 일상에 적용해 보세요.
첫째, 의견을 자유롭게 공유하는 문화 만들기
‘뛰어난 성과’에 대해서가 아니라 ‘협력적인 행동’에 대해 보상하는 것은 냉소주의를 낮추는 좋은 방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글로벌 기업 구글에서는 직원을 평가할 때, 함께 문제를 해결하고 협력적인 행동을 보여 준 직원에 대해 동료들이 평가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이처럼 문제해결에 대해 의견을 자유롭게 공유하고 협력적인 행동을 보상하는 방식은 지식과 기술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자세를 갖게 합니다.
둘째, 선택에 대한 ‘심리적 공간’ 만들어 주기
많은 사람들은 선택에 대한 자율성이 보장되고 ‘심리적 공간’이 허용되는 분위기를 신뢰라고 인식하는데요, 이러한 신뢰는 서로에 대한 불신을 해소하고, 서로의 다른 의견과 방식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심리적 공간으로 느끼게 합니다.
셋째, 의도적으로 긍정적인 생각을 적어 볼 수 있도록 하기
우리의 뇌는 생존을 위해 위협에 각성되기 위해 자동적으로 반응하도록 설계되어 있는데요, 부정적인 정보에 집중하는 것은 우리 뇌의 부정적 피드백 루프를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우리의 뇌를 긍정적으로 단련시키기 위해서는 자신을 위협하는 정보 보다는 긍정적인 사건과 생각에 의도적으로 집중해 보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사람들에게 감사한 일들, 주변 사람들에 대한 칭찬, 긍정적인 생각 등을 매일 몇 가지 씩 적어 보는 것은 우리 뇌의 부정적 피드백 루프의 방향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바꿔주는 역할을 할 것입니다.
냉소주의는 우리의 건강과 관계, 성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행복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만약, 여러분이 냉소주의자라고 생각된다면 위에 제시된 방법들을 하나씩 실천해 보세요.
여러분이 진정으로 원하는 목표에 집중해 보세요. 조금 더 긍정적인 생각으로 원하는 일들을 보다 행복한 방식으로 도전해 나가길 응원하겠습니다.
사당숲 정신건강의학과 의원 | 최강록 원장
(전)의료법인 삼정의료재단 삼정병원 대표원장
한양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외래교수
- 애독자 응원 한 마디
-
"선생님 경험까지 알려주셔서 더 와닿아요.!"
"조언 자유를 느꼈어요. 실제로 적용해볼게요"
"늘 따뜻하게 사람을 감싸주십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