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정신의학

[정신의학신문 : 삼성 마음 숲 정신과, 김재옥 전문의] 

 

거의 대부분의 운동이 근육의 크기와 회복 능력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그래서 몸을 만드는 것은 중요한 과정이며, 어떻게 효율적으로 몸을 만드는지 역시 성적에 큰 영향을 주곤 합니다. 스테로이드나 성장호르몬 등 특정 물질은 같은 시간 운동으로 더 큰 근육 성장과 회복을 가능하게 해 주기에 많은 선수들이 한 번은 생각하게 됩니다.      

사진_pexel
사진_pexel

 

종목마다 차이가 있지만, 스테로이드 같은 약물들은 대부분 금기 약물이며 금지약물 검사에서 적발되면 처벌받게 됩니다. 반대로 생각하면 명백히 효과가 있기 때문에 공정한 시합이 아니게 되며, 그렇기에 약물 사용을 강력하게 제재하는 것이죠.      

하지만 도핑을 적발하는 기술보다 도핑 기술이 앞서갈 수밖에 없기 때문에, 도핑 유혹은 뿌리치기 힘듭니다. 도핑 적발 시 각종 불이익과, 만만치 않은 약물 부작용이 생김에도 약을 끊을 수 없는 이유는, 효과와 더불어 적발당하지 않을 수 있다는 믿음 때문입니다. 그리고 같은 이유로 약을 쉽게 끊을 수 없습니다. 모든 알코올이나 담배 같은 중독성 물질이 끊기 어렵기는 하지만 스테로이드는 그런 물질과는 조금 다른 맥락을 가지고 있습니다.      

 

중독 치료의 시작은 중독 사실을 인정하고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중독 사실은 혼자서 인정할 수도 있지만,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쉽지 않죠. 특히 불법이거나 사회적 논란의 소지가 있는 것에 중독이 된 경우에는 더 그렇습니다. 심지어 법적으로 개인정보 보호가 보장되는 병원에서도 쉽게 상황을 설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기에 인터넷에 있는 정보로 혼자서 약을 끊기 시작하고, 금단이나 부작용이 나타나면 두려움에 약을 다시 시작하는 과정을 반복하기도 합니다.      

약을 중단할 때 또 다른 고통은 인간관계입니다. 금단 증상으로 인한 짜증과 분노 충동적인 모습은 주변 사람들을 상처 입게 합니다. 여기에 더해 금단 증상임을 설명할 수 없기에 갈등이 잘 풀릴 수가 없죠. 또 약으로 얽힌 인간관계에서 벗어나는 것 역시 스트레스이며, 그 관계를 대체할 새로운 사람을 만나야 하는 것도 부담이 됩니다. 물질을 끊는 것의 의미는, 그 물질 자체와, 물질과 관련된 생활과, 물질과 관련된 사람을 끊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물질을 끊으며 고립감은 심해지고, 고립감은 고통을 주며, 그 고통을 벗어나기 위해 약을 다시 시작하게 됩니다.      

 

그렇기에 중독 치료를 위해 정신건강의학과를 방문합니다. 비밀이 보장되고, 의학적인 관리와, 관계 변화로 인한 고통을 함께 조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정신과에서 처방받을 수 있는 약과 상담으로, 금단증상을 조절하고, 고립으로 인한 우울, 미래에 대한 불안을 조절하면 더 쉽게 약을 끊을 수 있고, 건강한 삶으로 다시 돌아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모든 것들의 시작은 결국 본인의 결심입니다. 영원히 약을 할 수는 없습니다. 중단할 수 있는 계기를 삶 속에서 마주치실 때, 결심하시고, 도움을 요청하시기를 빕니다. 

 

 

*  *  *
 

정신의학신문 마인드허브에서 마음건강검사를 받아보세요.
(20만원 상당의 검사와 결과지 제공)
▶ 자세히보기

김재옥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삼성마음숲 정신건강의학과 원장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국립공주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공의
저서 <정신건강의학과는 처음이에요>
전문의 홈 가기
  • 애독자 응원 한 마디
  • "선생님 경험까지 알려주셔서 더 와닿아요. 재옥쌤 짱!"
    "정말 도움됩니다. 조언 들으며 자유를 느꼈어요. 실제로 적용해볼게요."
    "늘 따뜻하게 사람을 감싸주십니다."
저작권자 © 정신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