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의학신문 | 김인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사진_ '카지노' 포스터
사진_ '카지노' 포스터

최근 많은 인기를 얻고 있는 <카지노>라는 드라마를 아시나요? OTT 중 하나인 디즈니 플러스에서 방영하고 있는 드라마로 최민식, 손석구 등이 나와 많은 화제를 얻고 있습니다. <카지노>는 우여곡절 끝에 카지노 왕이 된 한 남자의 일생기를 그린 드라마로 카지노를 운영하게 된 주인공의 모습에 따라 도박 중독에 빠진 사람들의 모습이 등장하기도 합니다. 

여기서 등장하는 도박중독은 도박으로 인해 본인과 가족 및 대인관계에 있어 갈등이 존재하고, 일상생활을 유지하기 어려울 정도로 재정적⸱사회적⸱법적 문제가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의지만으로는 도박 행위를 조절하기 어려운 상태를 일컫습니다. 도박에 중독된 환자들의 경우 도박을 지속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안절부절 못하거나 불안해하는 증상을 보입니다.

그리고 도박을 중단하는 경우 상실감이나 공허감을 느끼고, 도박을 하는 와중에도 결과로 인해 매우 극단적인 감정 변화를 보입니다. 분노, 불안, 우울 등 부정적 감정을 느끼거나 개인적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문제를 마주쳤을 때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보다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박 행위를 하는 모습도 보입니다. 마지막으로 이들은 도박 행위 또는 도박으로 인한 결과 때문에 죄책감 및 수치감을 느끼기도 합니다.

도박 중독의 경우, 개인적 차원을 넘어 가족 및 지역사회, 국가적으로도 많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치료가 시급합니다. 도박중독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은 지난 10년간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2050쯤에는 약 261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한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도박중독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이 우리가 예상하는 것보다 더 크게 나타나는 이유는 도박에 지출하는 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가정의 부채가 증가하고, 도박으로 인한 채무 불이행, 사기, 자금 횡령, 부도수표 발행, 절도, 재물범죄 등 관련 금융범죄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더불어 도박중독으로 인한 자살 문제까지 많이 발생하고 있어 이들을 치료하는 것은 국가적으로도 아주 시급한 문제라 볼 수 있습니다. 

 

사진_ freepik
사진_ freepik

그렇다면 사람들은 왜 이렇게 쉽게 도박에 중독되는 걸까요? ‘그냥 한 번 재미로 해보자’, ‘한 번 했는데 이 정도 땄으니, 조금 더 해도 괜찮겠지.’라는 생각으로 가볍게 접근하게 됩니다. 그렇게 게임을 지속하면서 자신의 내면에 있는 욕구와 맞닥뜨리게 되죠.

쉽게 큰 돈을 벌고 싶은 욕구, 잃은 돈이 있다면 이를 만회하고 싶은 욕구, 갑작스럽게 돈을 따냈을 때 얻을 수 있는 짜릿한 쾌감, 우울이나 스트레스를 떨쳐버리고 싶은 욕구, 직장 동료나 친구와 친목을 도모하려는 욕구 등이 도박 중독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 밖에 사회적 상황들도 도박 중독을 부추기는데 영향을 미치는데요. 첫째, 높은 접근성과 허용적인 문화가 있습니다. 우리나라 사행산업의 경우 허가와 운영을 규제할 수 잇는 권한이 여러 부처에 분산되어 있기에 이를 효과적으로 규제하기 위한 장비가 미비하다고 볼 수 있는데요. 이로 인해 도박에 대한 접근성이 증가하면서 중독 수준이 올라가게 되는 거죠.

둘째, 예방 및 치료적 개입을 위한 인프라가 취약하다는 점입니다. 도박 중독 환자를 위한 치료적 인프라도 부족하지만, 환자들이 본인 스스로 증상이 심각하고 치료를 받아야 한다는 생각도 많이 하지 않은 점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이렇듯 도박 중독 문제는 개인적, 사회적으로 여러 부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주변인에게 관심을 기울이고, 국가 차원에서도 지속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도움 주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당신의숲 정신건강의학과 의원 | 김인수 원장

 

------------

참고문헌

 이해국, & 이보혜(2013). 4대 중독 원인 및 중독 예방 정책. 보건복지포럼, 2013(6), 30-42.

김인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당신의숲 정신건강의학과 원장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공의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정회원
전체기사 보기
  • 애독자 응원 한 마디
  • "그때 선생님 글을 만났더라면 좀더 빨리 우울감에서 헤어나올 수 있지 않았을까?"
    "글 내용이 너무 좋아 응원합니다. 사소한 관계의 행복이 회복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저작권자 © 정신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