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의학신문 | 우경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사진_ freepik
사진_ freepik

우리 주변을 둘러보면 어디에나 자기를 과신하고 과대평가하는 사람들이 한두 명씩 꼭 있습니다. 학창 시절 성적은 늘 하위권에 머물면서도 “내가 공부를 안 해서 그렇지 머리가 좋아서 마음먹고 하면 다들 깜짝 놀랄걸.” 하고 말하고 다니는 친구들이 있습니다. 아쉽게도 그런 친구들은 졸업할 때까지 끝끝내 한 번도 친구들을 놀래 준 적이 없었죠. 

학교를 졸업하고 직장에 들어갔더니 비슷한 동료가 또 눈에 들어옵니다. 매번 인사고과도 좋지 않고, 승진에서 물을 먹고도 “팀장이 나한테 나쁜 감정이 있어서 평가를 안 좋게 줘서 이렇게 됐다.”면서 안 좋은 평가를 받은 본인의 능력과 현실을 부정합니다. 그러면서 “실력 좋은 내가 이런 직장에서 이런 대우나 받으면서 썩고 있을 인재가 아니야.”라는 말도 덧붙입니다. 이런 분들, 대체 왜 이러는 걸까요?

 

나를 있는 그대로 객관적인 시각으로 보고, 수용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특히 자신이 남들에 비해 뒤처진다거나 부족하다는 인식은 고통스럽기까지 합니다. 그래서 일종의 자기 방어기제로서 스스로를 과대평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지나치면 독이 되는 법이죠. 자신에 대한 과대평가가 자기를 인식하거나 평가하는 데 습관처럼 이루어질 때 올바른 자기 인식을 방해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습관처럼 자기 과대평가를 일삼는 분들 외에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기 자신에 대해 높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에서 자기에 대한 높은 평가를 지속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나는 꽤 괜찮고 능력 있는 사람이다.’라는 생각을 유지하기 위해 자신을 둘러싼 상황이나 타인에 대해 편파적으로 해석하곤 합니다. 자신에게 유리하게 편파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것을 심리학에서는 ‘자기 위주 편향(self-serving bias)’이라고 합니다. 적당한 자기 위주 편향은 자기를 보호하는 데 어느 정도 도움이 되는 것이 사실이지만, 이 역시 과도하게 발휘되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자기 위주 편향이 강한 분들이 만약 조직에서 팀을 이루어 함께 일하게 되면 성공의 공은 오직 자신에게로, 실패의 탓은 모두 남들에게로 돌리는 우를 범하기도 합니다. 

자신을 과대평가하는 것만큼이나 문제가 되는 것이 바로 스스로를 과소평가하는 것입니다. 분명 주변에서 보면 실력이 꽤 있어 보이는데, 매사에 스스로를 평가절하하거나 보잘것없는 사람 취급하는 분들이죠. 문제는 이렇게 습관적으로 자기를 과소평가하다 보면 충분히 도전해서 성취 가능한 일이나 극복할 수 있는 문제도 ‘할 수 없다’고 생각해 시도조차 하지 않거나 회피하게 된다는 겁니다. 그리고 스스로를 이런저런 제약에 가두다 보니 본래 가지고 있던 능력을 발휘하거나 성장시킬 기회를 저버리게 되는 것이죠.

이러한 자기 과소평가는 우울감이 만연하거나 자기를 비난하는 태도가 고착된 분들에게서 많이 나타납니다. 이들은 실패를 과도하게 두려워해서 실패했을 때의 고통을 피하기 위해 해 봤자 어차피 잘 안 될 거라면서 회피하는 태도를 고수합니다.

 

사진_ freepik
사진_ freepik

 

그렇다면 이러한 자기 과대평가나 과소평가는 어디에서 비롯되었을까요? 사람마다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겠지만, 많은 경우 ‘가짜 내면의 목소리’에서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언젠가부터 우리는 ‘자기 내면의 목소리와 기준을 따르라.’는 무언의 메시지를 받아 왔습니다. 저는 이 말이 어떤 사람에게 어떤 상황인지에 따라 반은 맞고, 반은 틀린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내면의 목소리’에는 진짜 나의 욕구를 대변하고, 나의 성장을 응원하는 ‘진짜 내면의 목소리’와 아주 오래전부터 혹은 어린 시절부터 타자에 의해 내면화된 가짜 나의 욕구나 신념을 공고히 하고, 나의 성장을 방해하는 ‘가짜 내면의 목소리’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가짜 내면의 목소리는 자기 과대평가나 과소평가를 하도록 부추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럴 때는 너무 자기 생각이나 기준에 함몰되기보다 오히려 주변 사람들의 객관적인 평가가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이죠. 문제는 가족이나 친구들의 평가나 피드백 역시 많은 경우 왜곡되거나 편향된다는 것입니다.

남편과 종종 부부 싸움을 하는 한 여성이 있습니다. 이 여성은 남편과 싸울 때마다 절친들에게 남편과 다퉜던 내용을 적나라하게 이야기하며 과연 이 부부 싸움에서 누구의 잘못이 더 큰지 공정한 심판을 내려 줄 것을 부탁합니다. 물론 친구들은 잘 알고 있습니다. 이 친구가 바라는 것은 ‘공정한 심판’이 아니라 함께 남편 욕을 해 주며 자신의 편을 들어 달라는 암묵적인 요청이라는 것을 말입니다. 친구들은 열심히 친구의 말에 맞장구를 쳐 주며 친구가 원했던 위로까지 해 줍니다. 

그런데 이때 한 친구가 고심 끝에 어렵게 말을 꺼냅니다. 이번 일은 남편보다 네 잘못이 더 큰 것 같으니 네가 먼저 남편에게 사과하는 것이 좋겠다는 것이죠. 이 친구도 그동안은 대부분 친구 편을 들어 주며, 오랫동안 친구를 진심으로 아껴 주던 친구였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남편의 손을 들어 주었던 것이죠. 바로 이때가 친구에 대한 서운함은 잠시 내려놓고 스스로를 돌아봐야 할 때입니다.

 

평소 자신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높은 분이라면 자기를 아끼는 오래된 친구나 지인들의 조언과 충고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이때 충고가 비난으로 바뀌거나 감정적으로 번진다면 사양하는 편이 낫습니다. 핵심은 지나친 자기 과대평가나 자기 위주 편향을 극복하기 위해 지인을 비롯한 다양한 분들에게 객관적인 평가를 받아 보는 것입니다. 그 와중에 유독 가슴에 와닿거나 소위 팩폭(‘팩트 폭력’을 줄여 이르는 말)을 듣는다면 비록 마음이 아프더라도 그 부분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 봐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죠. 반대로 자기 과소평가가 심하거나 자기 비난을 일삼는 분들이라면, 자신의 능력과 장점을 알아봐 주고 격려해 주는 분들의 이야기에 더 무게중심을 두는 편이 좋습니다. 

이렇게 해서 더 이상 쓸모없어진 방어기제를 작동하지 않고, 너무 한쪽에 치우치지 않을 때 균형 잡힌 자기 인식에 한 발 더 다가설 수 있습니다. 그동안 자기 과대평가와 과소평가로 자기 인식의 밸런스를 잃으셨다면 이제는 ‘가짜 내면의 목소리’를 벗어던지고 ‘진짜 내면의 목소리’를 만나 보시기 바랍니다. 

 

강남숲 정신건강의학과 의원 | 우경수 원장

우경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강남숲 정신건강의학과 원장
대구가톨릭대병원 의과대학 학사 , 석사
대구가톨릭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공의
전문의 홈 가기
  • 애독자 응원 한 마디
  • "읽는 것만으로 왠지 위로가 됐어요. 뭐라도 말씀드리고 싶어서 댓글로 남겨요. "
    "게을렀던 과거보다는 앞으로 긍정적으로 열심히 살아야겠다는 동기부여가 되네요. "
    "글 잘 읽고 있습니다. 다음 편이 기대됩니다."
저작권자 © 정신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