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의학신문 | 우경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친구를 적처럼 느껴 본 적이 있으신가요? 정신분석학자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는 친밀한 친구와 미워하는 적은 감정적인 삶에 없어서는 안 될 요소라고 강조했습니다. 친구와 적의 역할을 함께하는 대상은 누구에게나 존재합니다.
프레너미(frenemy)라는 말은 '친구(friend)'와 '적(enemy)'이라는 대조적인 단어의 합성어로, ‘적대적인 관계이거나 또는 경쟁자임에도 불구하고 친절한 친구’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친구와 적의 특성을 갖추고 있는 대상으로 개인이나 그룹 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국가 혹은 비즈니스 관계에서 경쟁적인 우호 관계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프레너미라는 단어는 1953년 초, 미국 칼럼니스트 월터 윈첼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습니다. 네바다주 저널에 '러시아를 우리의 프래너미라고 부르는 것은 어떨까(Howz about calling the Russians our Frienemies?)'라는 제목의 칼럼이 작성된 이후, 이 단어가 널리 사용되게 되었지요.
프래너미는 직장에서도 자주 접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많은 사람들이 직장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지고 대인 관계가 관심사 중심으로 연결되는 특징을 가지게 되면서, 일터에서 대인관계가 형성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직장 밖에서 친구를 만들 수 있는 시간이 충분하지 않고 내향형의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많은 관심사를 공유하는 직장에서의 친구는 경쟁자이자 친구가 되는 것이지요.
비즈니스 거래에서는 프래너미 식의 관계가 일반적인 것이 되었습니다. 서로에 대한 경쟁이 필요한 상황에서의 관계는 서로의 공통점이나 공통 이득을 바탕으로 하지만, 그 경쟁이 치열할수록 상대의 능력과 자원이 질투를 불러일으키고 관계가 악화되기도 합니다.
프레너미에는 세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각각 특징을 살펴보고 적절한 대처 유형을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양가적 관계의 프레너미
긍정적인 것도 있지만 부정적인 것도 있는 관계를 말합니다. 예를 들면, 친구라고 생각하면서도 경쟁심을 느끼거나, 친밀하지만 과거에 상처를 준 경험이 있는 관계이지요.
이런 관계에서는 두 사람 사례의 경쟁이 긍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성찰이 필요합니다. 경쟁적인 측면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환한다면, 이 관계는 부정적이거나 위협적으로 작용하기보다는 자기계발의 동기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이런 관계에서는 자신에 대한 정보에 대해 너무 많이 공개하기보다는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안전할 수 있습니다.
2. 비자발적 관계의 프레너미
친구, 그룹, 팀의 일부이거나 직장 동료인 경우로 상대와 관계를 끊는다면, 다른 관계나 당신의 모임 분위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관계입니다. 때때로 이 사람을 이기기 위해 노력하거나 상대에게 불이익이 되는 행동을 하고 싶은 충동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관계에서는 타인을 험담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험담은 다시 나에게 돌아올 수 있기 때문이지요. 이 사람이 당신의 인간 관계에서 중요한 사람이라면, 전략적으로 더 가까운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3. 롱텀 프레너미
이 유형의 관계는 오랫동안 알고 지내온 사람과 주로 형성됩니다. 이 사람이 당신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더 많이 준다고 생각된다면, ‘서서히 잊혀지기’ 방법을 고려해보세요. 예를 들면, 상대의 부탁을 몇 번 정도 거절하거나 만남을 서서히 줄여 나가는 것입니다. SNS의 상호작용 횟수를 줄이거나 상대의 발언에 대해 과도하게 호응하지 않는 것도 관계의 거리를 서서히 넓힐 수 있는 방법이 됩니다.
프레너미와 적절한 관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자신에게 효과적인 방법을 잘 찾아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관계를 다룰 수 있는 효과적인 전략은 감정을 인식하고 적절한 시점에 반응하는 것입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강남숲 정신건강의학과 의원 | 우경수 원장
대구가톨릭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공의
- 애독자 응원 한 마디
-
"읽는 것만으로 왠지 위로가 됐어요. 뭐라도 말씀드리고 싶어서 댓글로 남겨요. "
"게을렀던 과거보다는 앞으로 긍정적으로 열심히 살아야겠다는 동기부여가 되네요. "
"글 잘 읽고 있습니다. 다음 편이 기대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