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의학신문 | 우경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인간은 태어나서부터 사회적 존재로 살아갑니다. 인생의 초기 단계인 영아기에 형성되는 애착은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애착(attachment)은 주 양육자와 느끼는 감정적 유대관계로, 이때 형성된 애착 유형은 이후 성인기에서 애착대상과의 관계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즉, 성인 애착은 중요하다고 느끼는 사람과 함께 있을 때는 반응적이고 안정감 및 친밀감을 느끼게 하는 반면, 떨어져 있을 때는 불안함을 느끼게 만드는 정서적 요인입니다.
인간의 발달단계 중 성인기의 주요 발달 과업은 사랑과 일로 이 부분에서의 성취는 행복감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친밀한 대상과 형성된 정서적 유대감으로 성인 애착을 통해 특정한 사람과 접촉을 유지하여 얻은 신체적/심리적 안정감을 바탕으로 일과 탐색을 가능하게 하는 안전 기반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성인기의 안정 애착 유형인 경우, 발달 과업을 이루는 데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Hazan과 Shaver가 1987년에 성인 애착 척도를 개발하였고,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자신이 다른 사람으로부터 사랑과 보살핌을 받을 가치가 있는 존재인가, 아닌가의 자신에 대한 표상과 타인이 내가 신뢰할 수 있고 나를 도울 수 있는 존재인가, 아닌가의 타인에 대한 표상에 따라 안정형, 몰두형, 무시형, 두려움형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습니다.
반면, Brennan, Clark과 Shaver는 1998년에 친밀한 관계에서의 경험과 관련한 자기보고식 척도를 개발하여, 성인 애착 유형을 측정하였고, 회피와 불안 애착을 기준으로 안정형, 몰두형, 무시형, 두려움형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기도 하였습니다.
지금까지 연구되어 온 성인 애착과 직무 관련성에 관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안정형 애착 유형을 가진 성인들은 직무 만족 및 성과에 있어 높은 만족도를 얻고 있으며, 사회적 관계 형성에 있어서도 불안감 및 실패감의 경험이 적은 경향을 보입니다. 또한 직장에서의 성취에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건강에 대해서도 신경을 쓰며, 직무에 대해 성실한 태도를 보이고 분노 수준, 우울감, 스트레스 및 불안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즉, 안정형 성인 애착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무시형, 몰두형, 두려움형과 같은 불안정 애착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에 비해 대인관계 및 정서 표현이 적응적이고, 직무에 대한 정서적 몰입 및 직무의 질, 조직 만족도가 모두 높은 경향을 보였습니다.
반면, 불안정 애착의 성인들은 대인관계, 정서 표현, 갈등 상황과 스트레스를 대처하는 방식에 있어 부적절한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특히 거부 ∙ 회피형의 경우, 정서적 몰입도가 낮은 특성을 보였습니다.
성인 애착에 영향을 주는 아동기 애착 유형을 적절히 발달시키기 위해 주양육자들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아동기 형성된 애착 유형이 성인이 되어서도 고착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새로 형성한 사회적 관계 내에서의 소중한 존재와의 관계를 제대로 형성하여 안정형 애착을 소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강남숲 정신건강의학과 의원 | 우경수 원장
[참고문헌] 오은진, & 성경미. (2011). 간호사의 성인애착유형에 따른 조직몰입, 직무만족 및 직무스트레스. 동서간호학연구지, 17(2), 117-124.
대구가톨릭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공의
- 애독자 응원 한 마디
-
"읽는 것만으로 왠지 위로가 됐어요. 뭐라도 말씀드리고 싶어서 댓글로 남겨요. "
"게을렀던 과거보다는 앞으로 긍정적으로 열심히 살아야겠다는 동기부여가 되네요. "
"글 잘 읽고 있습니다. 다음 편이 기대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