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의학신문 | 오수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모범생'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 우리 사회에서는 바른 자세, 성실한 태도, 솔선수범의 자세, 힘든 친구를 도와주는 따뜻한 마음, 예의 바른 태도를 보이는 학생을 주로 모범생이라고 하는 것 같습니다. 조금 다르게 해석하면 학교에 가장 잘 적응한 학생이라고도 할 수 있겠는데요.
앞에서 언급한 태도와 덕목은 주로 우리 사회의 학교에서 가르치고 장려하는 것들입니다. ADHD 아동들이 보이는 부주의, 과잉행동, 충동성의 증상은 위에서 언급한 태도와는 반대되는 특성이고, 이는 학교 적응을 어렵게 합니다. 수업 시간에 산만한 행동과 선생님의 지시를 벗어난 새로운 시도는 자주 지적을 받게 됩니다. 위험한 행동을 자주 시도하게 되면 부모님에게까지 연락이 오게 되죠. 적응의 관점에서 보면 ADHD 아동들은 현대사회의 학교에 적응이 불리한 면을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ADHD의 특성이 모든 상황에서 불리한 것은 아닙니다. 현대사회는 ADHD 특성을 단점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지만, ADHD의 특성은 사실 창의성, 혁신,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최근 IT 및 창의적 산업에서 ADHD를 갖거나 ADHD의 성향을 보이는 사람들이 주목할 만한 성과를 내고 있는데, 이는 빠른 정보처리 능력과 창의성이 요구되는 분야에서는 ADHD의 장점이 잘 발휘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ADHD 아동들은 집중력의 유동성을 보이며, 이는 주로 산만함으로 나타납니다. 주의가 다른 곳으로 자주 이동하며 한 가지 작업에 지속해서 집중하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환경에 빠르게 반응하는 능력으로 인해 ADHD를 가진 사람들은 다양한 자극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고,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새로운 상황에 빨리 적응할 수 있습니다.
집중력의 유동성은 유연한 사고방식과 연관이 있고, 새로운 아이디어나 접근 방식에 개방적일 수 있도록 하며, 기존 사고의 틀에서 벗어난 창의적인 해결책을 찾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러한 특성은 학교와 같은 체계적이고 통제적인 상황에서는 산만함으로 나타나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지만,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이나 문제가 고착화되어 창의적이고 새로운 방식의 문제해결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강점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ADHD 아동들은 위험을 기꺼이 감수하려는 경향을 보입니다. 학교에서는 위험하거나 과격한 행동이나 불필요한 갈등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고위험 감수성은 불확실한 상황에서 새로운 기회를 탐색하는 데 상당히 유리한 면이 있습니다. 전 세계 스타트업을 이끄는 CEO 중 상당한 수가 ADHD를 가지고 있거나 이러한 성향이 있는 사람들이며, 그들의 장점을 십분 발휘하여 기업을 이끌고 있습니다. 이들의 높은 위험에도 새로운 분야에 도전하는 모습은 기업가 정신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진화적 관점에서 연구자들은 ADHD의 주요 특성인 집중력의 유동성과 창의성, 고위험 감수성이 인류의 역사 속에서 유리한 점이 많았을 수 있음을 언급합니다. 일부 학자들은 고대 수렵채집사회에서 ADHD의 빠른 반응성과 환경 적응력은 생존에 유리했을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인류의 진보와 혁신에 기여하여 역사적으로는 넓은 영토를 개척하거나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 데 앞장선 사람들은 위험을 기꺼이 감수하려는 경향이 강했으며, 이는 현대의 ADHD가 가지고 있는 고위험 감수성과 연결하여 생각할 수 있습니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ADHD의 특성은 체계적이고 위계가 강한 통제적 환경에서 강점으로 나타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오히려 다소 무질서하고 자유분방한 환경에서 그들의 생각이 산만하기보다는 새롭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꽃필 가능성이 높으며, 그들의 행동이 과잉적으로 보이기보다는 위험에도 불구하고 앞으로 나아가는 강인한 추진력으로 발현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대사회는 위험이 상존하는 과거의 수렵채집사회나 고대/중세사회와는 거리가 멀고 보다 체계적이고 복잡다단한 것이 사실이고, 많은 환경에서 ADHD의 특성과 증상은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ADHD 증상이 진화적으로 그리고 역사적으로 환경에 따라 강점으로도 단점으로도 작용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산만하고 엉뚱한 생각과 행동을 많이 하는 우리 아이가 어떤 환경이 주어졌을 때 자신의 능력을 꽃피울 수 있을지 충분히 고민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성균관대학교 삼성창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오수환
[참고문헌]
1. Sedgwick, J. A., Merwood, A., & Asherson, P. (2019). The positive aspect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successful adults with ADHD.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s, 11(3), 241–253. https://doi.org/10.1007/s12402-018-0277-6
2. Tucker, R., Zuo, L., Marino, L. D., Lowman, G. H., & Sleptsov, A. (2021). ADHD and entrepreneurship: Beyond person-entrepreneurship fit.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Insights, 15, e00219. doi:https://doi.org/10.1016/j.jbvi.2020.e00219
3. White, H. A., & Shah, P. (2006). Uninhibited imaginations: Creativity in adult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0(6), 1121-1131. doi:https://doi.org/10.1016/j.paid.2005.11.007
경상남도 거제교육지원청 Wee센터 자문의
경남 함안군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임상자문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