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_정신병리학 특강 (양병환, 김린, 박선철 외 7명 / 집문당)

 

『정신병리학 특강』은 故 양병환 교수(한양의대 정신건강의학교실, 1945-2017)를 비롯한 ‘정신병리문헌연구회’가 저자로 참여하였다. ‘정신병리문헌연구회’는 정신의학자와 철학자로 구성된 정신병리학 연구모임이다. 본서는 故 양병환 교수가 저술한 『정신병리학 총론, 중앙문화사, 2010)』의 개정판으로서, 우여곡절 끝에 그의 사후에 출판되었다.

 

본서는 정신병리학의 정의, 역사, 및 쟁점 등과 같이 기본적이지만 난해한 주제의 10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주제에 대하여 깊이 있는 논의와 성찰을 제공하여 준다.

 

즉, 카를 야스퍼스가 ‘선입견을 제거하여 자료를 순수하게 파악하는 것이 정신병리학의 과제’라고 역설한 바와 같이, 본서는 특정한 이론적 입장에 치우치지 않고 정신병리학을 포괄적으로 조망할 수 있게 해준다. 이에, 『정신병리학 특강』은 정신의학뿐만 아니라 심리학, 철학 등 같이 다양한 학문적 배경을 가진 이들에게 정신병리학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켜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머리말
헌정사

제1장 정신의 정의
서론
본론
‘정신’이란 무엇인가?
몸과 마음의 관계
뇌과학과 마음
‘마음’을 바라보는 또 다른 관점들
결어

제2장 정신병리학의 정의
정신병리학의 정의
정신병리학의 학문적 의미와 역할
정신과 신체의 개념
생물정신사회 모델의 해석

제3장 정신병리학의 역사
고대: 마술적 사고의시대
그리스 · 로마 시대: 고전 시대
중세시대: 종교의 시대
르네상스 시대: 전통의 부활
18세기: 계몽기 시대
19세기 전반기: 낭만주의 시대
19세기 후반기: 합리주의 시대, 신경정신의학의시대

제4장 정신병리학의 방법론과 학파: 20세기 정신의학의 흐름
근대 정신의학의 시작
정신분석의 선구자들
정신분석의 창시자 Freud
Freud의 후예들
행동주의 전통
생물정신의학의 재탄생
진단체계의 확립
지역사회 정신의학 모델
정신의학과 사회
결론

제5장 정상과 비정상
정상의 개념
임상적 비정상의 의미
인간 정신에서의 정상과 비정상

제6장 언어장애의 구성주의 철학적 접근
언어란 무엇인가: 철학과 정신의학의 만남
모듈형 발화(發話)이론
철학과 인지과학에서 언어 · 인지모형의 문제
마음의 계산이론
연결주의
언어도입의 구성주의적 재구성과 자폐증의 설명 모형
사물유형의 형성조건으로서 공감각
징후(symptom)와 상징(symbol)
추상화(abstraction), 상(相), 메타퍼
두 종류의 인지행위
자폐증 언어현상의 재구성
자폐아의 시각적 사고방식과 기억
방법론적 고찰
결론

제7장 정신증상과 기술 정신병리학
서론
정신증상의 단위
증상과 정신의학적 진단
증상학과정신병리학
병적 과정
결론

제8장 원인론
서론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
유전적 원인
후생유전학(epigenetics)
신경회로 이론(neural circuit theory)
환경적 원인
스트레스와 정신질환
스트레스-체질 모델(stress-diathesis model)
심리적 요인

제9장 정신현상과 진단분류
정신현상에 대한 이해
학문적 위계와 전체론적 이해
정신질환의 진단분류

제10장 정신병리학의 쟁점 및 과제
정신질환에 대한 생물학적 연구의 결과
유전학 연구
뇌신경영상학 연구
신경생리학 연구
정신병리학에서의 난제
정신병리학의 과제
증상과 개인에 집중
기술(記述)에서 기능(機能)으로
새로운 개념의 적용
과거의 관점을 통해서 새로운 개념과 모델 만들기
진단체계와 임상상의 일치시킬 방안
철학적 성찰의 필요성
새로운 통합의 길에서 정신병리학의 역할
한국 정신병리학의 갈 길
맺는 말

 

 

저작권자 © 정신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