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발한 아이들과 산만한 아이들에게는 명확한 차이가 있다.
어떠한 활동을 하기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열심히 뛰어다니는 아이들을 보면
‘참 활발하네’, ‘활동량이 많구나’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많이 움직이고, 운동량이 많다고 하여 무조건 산만하다는 표현을 하지는 않는다.
만약 움직임이 많다는 것만을 가지고 산만하다는 표현을 하게 된다면, 산만하지 않은 아이는 몇이나 될까?
아이들이 활발하게 움직이고 어떠한 행동을 하는 것에는 주위 사람 및 환경 그리고 그 활동을 하기 위한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산만한 아이들의 행동은 어떠하며 어떤 이유가 있을까?

 

산만한 아이들의 특징을 보면 대체로
① 항상 몸을 움직이고 있다.
② 결과를 생각하지 않고 위험한 일을 태연하게 한다.
③ 다른 사람들의 말을 듣지 않고, 어떠한 활동을 끝까지 하지 못한다.
④ 쉽게 흥분하고 화를 낸다.

사진_픽셀


감각통합으로 본 산만한 행동의 이유

① 자기 자극


다들 장시간 운전을 하거나, 오랜 시간동안 책상에 앉아 있었던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작은 움직임으로 지속적인 반복 활동을 하게 되면 졸음이 쉽게 몰려오게 되고(각성 수준 하락), 졸음을 쫓기 위해 기지개를 켜거나, 잠시 서서 바람을 쐬거나 커피를 마시는 등의 활동을 하게 된다.

아이들 또한 다르지 않다. 감각통합에 어려움을 가지는 아이들 중에는 일상적인 감각자극에 대한 반응성이 낮은 아이들이 있다. 이러한 아이들의 경우 각성 수준이 낮아, 스스로 각성을 높이기 위해 머리나 몸을 많이 흔들고 높은 곳에 올라가 뛰어 내리는 등의 활동을 자주 하게 되는 것이다.


낮은 각성 수준을 올리기 위해 산만하게 움직이는 아이들은 억지로 못 움직이게 하거나 호통을 치기 보다는 오히려 힘든 운동을 힘껏 하게 하여 아이들의 각성을 높여주는 것이 좋다. 예컨대 엄마와 함께하는 세탁 놀이가 있다.

놀이로 끝나도 좋고, 실제로 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큰 이불을 욕조에 넣고 엄마와 함께 거품을 내며 이불을 밟고, 물먹은 이불을 직접 꺼내 보기도 한다면 아이들에게는 즐거움과 각성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좋은 놀이가 될 것이다.

 

② 운동 계획의 어려움


운동 계획이란, 익숙하지 않은 새로운 활동을 하기위해 운동을 계획하고 수행하는 능력이다.
이러한 새로운 활동에서 적응을 쉽게 하지 못하는 아이들의 경우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활동을 하지만 활동에 따라가지 못하거나 예기치 못한 방향으로 활동이 잘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곤 하는데 이러한 모습에서 산만하게 보이는 경우가 있다.


처음 하는 활동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는 아이들의 경우 긴장이 커짐에 따라 더욱 더 활동에 적응을 하지 못하게 되어 반복적인 실수와 운동 계획의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이런 아이들의 경우 새로운 장소, 새로운 도구 등의 의미를 이해하기 쉽게 1:1로 코칭 해 주는 것이 좋다.

예로는 징검다리 놀이가 있다. 작은 상자들을 1열로 배치하여 아이들이 밟고 건널 수 있는 다리를 만들어 준다. 처음엔 일정했던 상자의 간격을 다음엔 일정하지 않게, 때로는 1자가 아닌 S자 형태로 바꿔 줌으로써 아이들이 새로운 환경에 접해 볼 수 있고, 운동을 계획해서 활동 할 수 있도록 환경을 바꿔 줄 수 있다. 이때 아이들이 어려움을 느낀다면, 한손을 잡아주며 지지해 줌으로써 활동에 대한 격려로 아이들의 자신감을 북돋아 주는 것이 좋다.


③ 선택적 자극 억제장애


우리는 주위로부터 여러 가지 자극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러한 것들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며 생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수업시간에 선생님의 말을 듣기 위해 뒤에서 친구가 소곤거리는 소리에 대한 자극을 억제하고 수업을 듣는다던가, 길을 걸으며 들려오는 자동차 지나가는 소리에 하나하나 반응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러한 불필요한 자극에 대해 선택적으로 가려내지 못하고, 반응하는 선택적 자극 억제장애 아이들이 있다. 이러한 아이들의 경우 현재 어떠한 활동이나 놀이에 대해 집중하려고 해도, 이따금씩 보이거나 들리는 자극에 대해 저항하지 못하고 하나하나 반응하게 되어 산만함을 보이는 것이다.


환경자극을 될 수 있는 한 배제하는 것이 좋다. 아이가 활동에 지속적으로 집중할 수 있도록 소음을 줄이고, 칸막이 등을 이용하여 시야에 보이는 물건을 최소화함으로써 어떠한 것에 주목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저작권자 © 정신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