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겨울이 오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온열기를 많이 사용하게 되지요. 온수매트를 비롯하여 전기장판, 열풍기 등등 많은 온열기구들이 있습니다. 그런데 가끔은 방심하는 순간에 이런 온열기구로 인한 화상을 입고 병원에 방문을 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특히 아이들이 취약하지요. 오늘은 그중에서도 저온화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저온 화상에 대한 명확한 의학적 정의는 없지만, 40도 이상의 온도에 비교적 장시간 노출되어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온도마다 차이는 있지만, 40-45도 정도의 온도에서는 약 3시간 정도, 46도 이상에서는 1시간, 50도 이상에서는 5분 이내에 화상이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사람의 피부가 아주 뜨겁게 느껴지지 않는 열에 장시간 노출되면서 피부 조직에 열이 축적되어 세포의 손상이 일어나는 것을 말합니다.

저온 화상은 요즘 같은 계절에 흔합니다. 온열기구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심지어는 전통가옥인 온돌에서도 저온 화상 환자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또한 휴대용 핫팩에도 화상을 입고 오는 분들이 많습니다. 손 난로나 핫팩도 높게는 70도까지도 온도가 올라가기 때문입니다.
그럼, 저온 화상과 일반적인 고온에 의한 화상은 어떻게 다를까요? 저온 화상의 가장 큰 문제점은 초기에 알아 차리기가 어렵다는 점입니다. 처음에는 그냥 따뜻한 정도로만 혹은 약간 뜨거운 정도로만 인지하고 참게 되고, 특히 수면을 취하게 되면 감각에 더 둔감해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저온화상을 입은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제때 인지하지 못하여 치료 시기를 놓치게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겉에서 봤을 때에는 피부가 그냥 붉어지고 따끔거릴 뿐, 일반적인 화상에서 보이는 물집이나 통증이 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피부색이 변하고 간지럽기 시작하며 통증이 시작되게 됩니다. 그 때가 되면 물집도 잡혀 올라오지요. 저온화상은 일반적인 화상에 비하여 범위는 좁지만 깊은 것이 특징입니다. 그래서 심부 화상이 흔하며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아 화상의 진행을 막을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되기도 합니다.

가장 좋은 치료법은 의심을 하는 것이고, 그다음은 열의 원인을 차단하며 찬물 등을 이용하여 열기를 줄여주는 것입니다. 물집이 생긴다면 일부러 터뜨리지는 않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염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가려움증도 심할 수 있는데, 긁지 않는 편이 좋겠습니다.
결국 보다 근본적으로는 온열 기구를 적절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온열기구에 부착된 온도계는 절대적이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즉, 상대적인 온도만 말해주는 경우가 많으므로 표면의 온도를 정확히 아는 것도 필요합니다. 또한 온열 기구의 표면이 직접 피부에 닿는 일은 피해야 합니다. 담요를 사용하여 직접 피부에 닿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좋고, 음주를 하였다거나, 수면제를 먹었다거나, 너무 피곤한 생태에서는 감각이 둔해지므로 더욱 조심해야 합니다. 위에서 언급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병원에 내원하여 치료를 받는 것도 중요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