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적인 하룻밤

흔하디 흔한 로맨틱 코미디 영화가 드믄 요즈음입니다. 멜로/로맨스 장르로서 2015년 개봉한 한국영화는 오늘의 연애, 뷰티인사이드 정도만이 떠오르네요. 개인적으로 이러한 영화들을 좋아하는 편인데, 대게 영화속에 담는 주제들이 일상속에서 흔히 떠올릴 수 있는 우리의 생각들을 반영해주기 때문입니다. 그 주제의 무게감은 디저트를 먹을 때 주는 산뜻한 느낌과 많이 닮아있습니다.

그러한 측면에서 살펴보면, 이 영화는 제법 잘 만든 영화라 생각됩니다. 일상에서 마주칠 법한 주인공들을 내세워 친근하고 가까운 주변의 이야기를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두 배우 모두 연예인이라기 보다는 매우 현실적인 일반인의 느낌을 잘 가지고 있습니다.)
이야기는 각자 사귀던 사람과 헤어진 후에 그들의 결혼식에서 서로 만나 하룻밤을 보내게 되면서 시작됩니다.

그 이야기를 풀어가는 윤계상, 한예리라는 두 주연배우의 힘이 영화의 제일 중요한 포인트라고 생각되는데요.
불확실한 미래와 불안정한 현실때문에 자존감이 낮아있는 요즘남자, 요즘여자(흔히 말하는 N포세대)를 잘 표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덤덤하게 일상을 표현한 한예리가 예뻐보이네요. 한예리의 분위기가 극중 전체적인 분위기를 이끌어가고 있는 듯합니다.
윤계상은 일관되게 어둡고, 부정적인 생각을 표현하고 있는데, 그것이 더욱 더 현실적으로 느껴졌습니다. 다만, 대학로 연극이 원작이기 때문인지, 순간순간의 과장된 듯한 연기들과 개연성이 낮은 전개방식이 영화의 몰입을 방해하는건 아쉽습니다.

영화에서는 서로를 몸친이라 표현하며, 사랑을 나누던 사이에서 사랑에 빠지게 되는데, 육체적 사랑과 정신적 사랑이 결코 분리되어 있지 않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하나뿐인 사랑을 찾기 위해서 사람들을 만나고, 그 사람들을 대하는 과정에서, 서로에게 영향을 받는 것처럼(추억이 되기도 하죠.), 육체적 사랑과 정신적 사랑도, 서로에게 영향을 주는 듯하게 생각됩니다.
눈에 보이는 것은 몸뿐이기 때문에 사랑하는 사람에게 홀린 연인은 영혼 역시 그 껍질과 똑같기를 바라게 된다. 몸이 거기에 어울리는 영혼을 가지고 있기를, 살갗이 표현하는 것이 속에 든 본질이기를 바라게 된다. 나는 몸 때문에 클로이를 사랑한 것이 아니라, 그녀의 본질에 희망을 품게 해주었기 때문에 그 몸을 사랑했다. 그것은 매우 가슴 설레는 희망이었다.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알랭 드 보통>

어찌되었든 평범한 남녀의 기분 좋은 결말을 통해 우리에게 '열심히, 행복하게 잘 지내'라는 메시지는 잘 전달되는 듯합니다. 무겁게 사회현상을 파고들며 생각을 많이 하게되는 영화들이 있다면, 조깅을 하듯이 산뜻하게 즐길 수 있는 영화들도 많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사실 하룻밤이 주제가 되었다는 것 자체가 마냥 좋은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제 관심사니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