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질환에 대한 국민의 편견을 해소하고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 복귀 성공사례를 확산하기 위해 개최한 “제1회 정신질환 인식개선을 위한 사회복귀 체험수기 공모전”에서 총 32편이 선정되었다.
이번에 제출된 수기에는 조현병, 우울증, 알코올 중독 등 정신질환의 발병과 치료 과정에서 병증이나 사회적 편견으로 인해 겪었던 어려움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 정부와 사회에 대한 바램들이 담겨 있다.
대상 수상자 김태욱氏는 아버지의 사망 후 우울증에 시달렸으나, 즉시 치료하지 않아 오랜 기간 동안 투병생활을 하게 되었다. 이후 잘 회복되어 직업을 구하였으며, 직장에서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것을 알고도 계속 일 할 수 있도록 배려해 준 것을 계기로 삶에 대한 희망을 얻게 되었다. 그는 이제 직장을 그만두고 질환 때문에 중단했던 학업을 계속하며 더 나은 장래를 준비하고 있다.
또 다른 대상 수상자 권모氏는 시댁과의 갈등과 산후우울증, 경제적 어려움을 겪으며 정신적인 어려움이 시작되었고 조울증 진단을 받았다. 권씨는 조울병에 대한 자신의 편견으로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다 10여년 간의 기간 끝에 자신의 병을 받아들이고 체계적인 정신건강 지식을 배워 회복의 과정을 밟고 있다. 사회에 대하여 ‘우리는 병과 싸우는 것만으로도 힘겹습니다. 부디 우리를 비웃지 말아 주세요.’, ‘편견의 눈이 아닌 발견의 눈으로 우리를 바라 봐 주세요.’라며 사회 구성원들의 배려를 요청하였다.
은상을 수상한 김미현氏는 18년 째 조현병을 앓고 있는데 처음 발병했을 때 부모님이 큰 상처를 받았고 스스로도 정신과 약을 먹고 입원 하는 것을 받아들이기 힘들었다고 한다. 몇 번의 시행착오를 통해 스트레스에 취약한 자신의 특성을 인지하여, 완치를 기대하기보다는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방식으로 사회생활을 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했다. 그러나 오랜 투병 기간 동안 곁을 지켜 중 가족과 우연히 만난 시인, 정신건강복지센터 직원 등의 격려로 자신이 희망하던 대로 시집을 출간하고, 온라인 서점에서 베스트셀러가 되는 성과를 보았다.
보건복지부는 5월 30일 「정신건강복지법」이 시행되는 것을 기념하여 이날 오후 3시, 서울 을지로에 있는 페럼타워 페럼홀에서 수기공모전 수상자에 대한 시상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