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부터 시작한 이야기를 드디어 마무리짓게 되었습니다. 이번 주는 위 궤양의 치료에 대해서 소개하는 에피소드였습니다.

위 궤양의 치료는 두 가지 관점에서 이해해야 합니다. 첫째, 원인에 대한 치료, 둘째, 궤양에 대한 치료입니다. 원인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이라면, 즉 균검사 양성이라면 제균치료를 병행해야 하고 요소호기검사 등을 통해 제균치료의 성공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하지만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이 없었고 소염진통제를 많이 복용하는 환자였다면 약의 중단 또는 다른 약으로의 교체를 고려해야 합니다.

둘째는 궤양 자체의 치료로 궤양의 원인이 되는 위산분비를 억제하는 약들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에는 양성자펌프억제제 (Proton pump inhibitor, PPI)와 히스타민 억제제인 H2-blocker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 약들은 위염, 위궤양, 그리고 앞서서 소개한 위식도역류 등에도 공통으로 사용하게 되는 약입니다.

이 외에도 수크랄페이트 (sucralfate)나 비스무스 함유제 (bisthmus) 등의 약도 추가로 사용하게 되고 기본적인 생활습관 변화가 중요합니다. 여기에는 금주금연이 기본으로 있고 짜고 매운 음식, 카페인 함유 음료는 위에 안 좋은 영향을 주는 식품들이기 때문에 금해야 합니다.

위궤양으로 수술을 하게 되는 경우는 피가 나는데 내시경적 지혈로 해결이 안되는 경우, 아예 구멍이 뻥~ 뚫려서 복막염이 되었거나, 만성 섬유화의 과정에 의해 출구가 막히는 합병증이 생기는 경우들입니다.

 

 

저작권자 © 정신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