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 조절이 안 되는 이유가 뭘까요?

2025-05-27     정희주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정신의학신문 ㅣ 정희주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일러스트_freepik

 욱하고 성질을 내는 일, 쉽게 분노하는 것은 개인적인 고통뿐 아니라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에도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분노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개인마다 다르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1. 뇌 기능 및 호르몬 불균형:감정 조절 능력 저하

원인 : 뇌의 감정 조절 부위 연결 이상, 세로토닌 부족, 도파민 과다, 성호르몬 불균형 등 뇌 기능 및 호르몬의 이상은 감정 조절 능력을 저하시켜 쉽게 분노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해결책 : 뇌 기능 문제로 인한 잦은 분노 조절 실패를 경험한다면 약물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스스로의 노력만으로 조절이 어렵다면 전문가와 상담하여 약물 치료를 통해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2. 극심한 스트레스와 심리적 트라우마:감정 조절 능력 저하 및 분노 폭발

원인 : 평소에는 분노를 조절할 수 있지만, 극심한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분노를 표출하는 방식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과거의 심리적 트라우마는 뇌의 감정 조절 능력에 손상을 입혀 분노를 쉽게 폭발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3. 약물 남용:폭력적인 성향 유발

원인 : 알코올이나 특정 약물은 뇌 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이성적인 판단력을 흐리게 하고 충동적인 행동을 증가시켜 폭력적인 분노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4. 부모의 잘못된 본보기 : 분노를 학습하는 환경

원인 : 성장 과정에서 부모가 자주 욱하거나 분노를 표출하는 모습을 보고 자란 경우, 자신도 모르게 그러한 분노 표출 방식을 학습하게 될 수 있습니다. 겉으로는 부모의 모습에 반감을 가질 수 있지만, 무의식적으로 분노를 해결하는 잘못된 방식을 습득하여 유사한 상황에서 자신도 모르게 분노를 터뜨릴 수 있습니다.

자문 : 자신의 성장 환경을 되돌아보고, 주변에 분노를 자주 표출하는 어른이 있었는지, 분노에 대해 학습한 것은 무엇인지 솔직하게 생각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분노를 터뜨렸을 때 얻는 대가와 그 쾌감을 인지하고, 진정으로 그것을 포기할 수 있는지 스스로에게 질문해야 합니다.

5. 분노를 통한 쾌감과 중독 : 아드레날린 분비

원인 : 일부 사람들은 분노를 표출하는 과정에서 아드레날린이 급격하게 분비되며 일종의 쾌감을 느끼고, 이러한 쾌감에 중독되어 반복적으로 분노를 터뜨릴 수 있습니다.

해결책 : 분노를 통해 쾌감을 느끼는 경향이 있다면 의식적으로 휴식이나 명상과 같은 이완 기법을 통해 분노 대신 건강한 방식으로 감정을 조절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6. 극심한 수치심과 버림받았던 기억:공격적인 방어 기제

원인 : 깊은 내면의 수치심은 자신을 근본적으로 잘못된 존재로 느끼게 하여 극심한 고통을 유발합니다. 이러한 견디기 힘든 수치심을 방어하기 위해 오히려 공격적인 분노를 표출하기도 합니다. 이는 자신의 수치심을 타인에게 전가하려는 무의식적인 시도입니다. 또한, 소중한 것을 잃거나 버림받았다는 강렬한 경험 역시 불신, 증오, 그리움 등 복합적인 감정과 함께 분노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 됩니다.

 

서울역마음 정신건강의학과 의원 ㅣ 정희주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