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조절장애 간헐적폭발장애 - 분노의 유형
정신의학신문 ㅣ 우경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총체적 분노는 그 어떤 화나 분노보다 강력한 극단적 사태입니다. 단순히 화가 난 정도가 아니라 분노로 펄쩍펄쩍 뛰는 상태입니다. 이러한 분노는 한 사람의 몸과 마음을 총체적으로 변화시켜 잠재적으로 파괴를 일삼는 위협적인 인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욱하는 성질이 폭발하면 자기만의 세계에 빠지고 맙니다. 주위에서 뭐라고 해도 그 의미를 완전히 왜곡하여 이해합니다. 하지만 그 순간이 지나 몇 시간 혹은 하루 정도 지나면 엄청난 죄책감과 후회가 밀려듭니다.
분노의 유형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자신이 화가 나는 이유가 어떤 경우에 해당하는지 살펴보시면 분노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진전 속도에 따라
돌발성 분노 : 지킬 박사는 평소에는 아무렇지 않다가 갑자기 하이드 씨, 즉 무서운 성격으로 돌변하곤 합니다. 이처럼 갑자기 예기치 않게 성격이 돌변할 정도로 화가 치밀어 감정이나 생각, 행동을 전혀 통제하지 못하거나 일부밖에 통제하지 못하는 상황이 돌발성 분노입니다. 돌발성 분노는 무의식중에 일어납니다.
잠재적 분노 : 분노가 항상 특정 사건에 대한 즉각적인 반작용으로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때로는 자신이 불공평하다고 느끼는 상황에 대한 반응으로 천천히 누적되다가 결국 바깥으로 분출됩니다.
위협의 종류에 따라
생존성 분노 : 자신의 존재 가치를 결정짓는 특정 부분에 위협이 가해졌을 때 폭발합니다. 보통 육체적으로 위험한 상황에 처했을 때 살아남기 위한 대응책으로 발생합니다.
체념성 분노 : 인생을 자기 마음대로 조절할 수 없다거나 중요한 상황에서 아무런 영향을 미칠 수 없다는 사실을 참기 힘들 때 나타납니다. 무력감에서 비롯됩니다.
수치심에서 비롯된 분노 : 자신이 창피를 당했다거나 비난당했거나 모욕당했다고 느꼈을 때, 상대방이 의도적으로 무시한 것도 아닌데 민감하게 반응하는 사람들이 이런 경우에 폭발합니다.
버림받음에서 비롯된 분노 : 외로움, 초조함, 불안감 등을 잘 견디지 못할 때도 불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생존성 분노, 체념성 분노, 수치심이나 버림받음에서 비롯된 분노는 모두 자신에게 꼭 필요하다고 인식되는 것을 얻기 위한 싸움입니다.
부분적 분노와 비폭발 분노 : 모든 분노가 총체적 분노는 아닙니다. 대부분의 경우 사람들은 욱하고 성질이 치밀었을 때 부분적으로만 이성을 잃습니다. 부분적 분노나 비폭발 분노는 강한 분노와 총체적 분노의 중간 단계로, 욱하는 성질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징조입니다. 즉, ‘휴식이나 부정적인 생각 대신 편안한 생각하기’와 같은 표준 분노 관리 방법이 욱하고 성질이 폭발했을 때 효과가 있다는 의미입니다.
강남숲 정신건강의학과 의원 ㅣ 우경수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