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 사이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2024-01-16     이호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정신의학신문 | 이호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사진_ freepik

 

서로 다른 환경에서 자라온 두 사람이 하나의 가정을 이루게 되면서 부부는 종종 갈등을 겪습니다. 갈등 끝에 부부가 이혼을 결심하게 되는 이유는 성격 차이, 경제적인 문제, 가정 불화 등 다양합니다.

그 이유가 무엇이든 이혼을 하게 되는 과정을 보면 부부간 의사소통이 잘 이뤄지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서로의 가치관이나 삶의 방식이 다르다는 느낌이 들면, 이에 대해 이해를 하고 존중해 주기보다는 자신의 삶의 방식대로 행동하기를 원하고 그로 인해 상대방에게 행동이나 생각을 강요하게 되면서 갈등이 발생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갈등을 줄이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무장해제 기법입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상대가 비합리적이거나 부당한 행동을 할 때조차 그에 대해 진심으로 동의하는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이를 통해 상대의 비판이 잘못되었음을 증명하게 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아내가 남편에게 자신의 말을 제대로 들어주지 않은 것에 대해 분노를 표현하는 상황에서 여태껏 말을 제대로 들어주지 못했다고 미안하다는 의사를 표현하며 지금 다시 이야기하는 것이 어떨까? 라는 반응을 보인다면 그 순간 귀담아듣는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방법은 시도하면 효과가 좋기는 하지만, 시도하는 것이 힘듭니다. 자신이 틀렸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하기 때문에 자존심이 이를 막게 되고, 두려움과 불신을 느끼게 되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 방법은 생각과 감정에 대해 공감하는 양상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스스로가 타인의 생각과 감정, 고통을 이해하고자 노력하는 것을 의미하며,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상황을 바라보려고 하는 것입니다. 

세 번째는 확인 질문을 하는 것입니다. 상대방의 생각이나 감정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고자 하는 마음으로 추가 질문을 하는 것으로 상대방이 이러한 상황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어떤 기분을 느끼는지 알고 싶다는 감정을 전달해 줍니다.

다만, 주의할 부분은 어떻게 문제를 해결해 줄까? 라는 식의 질문은 오히려 상대의 감정을 상하게 만든다는 것입니다. 섣불리 해결하려고 할 때는 상대가 분노를 표현할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게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사진_ freepik

 

이외에도 자신의 감정에 대해 표현하는 것, 상대를 달래고 위로하는 것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 때는 친절한 태도, 지속적인 관심, 존중 등의 태도를 함께 보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서로 다른 사람들이 만나서 하나의 가정을 이루며 살아가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요즘은 더더욱 서로의 개성이 드러내는 경우가 많이 있고, 손해를 보는 상황을 이해하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더 많은 갈등이 빚어지는 것 같습니다.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을 고민해 보고 서로의 입장을 헤아려 보는 시간을 가져 보시기 바랍니다.

 

서대문봄 정신건강의학과 의원 | 이호선 원장

[참고문헌]

 강혜숙, & 김영희. (2012). 부부의 성격특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 상담학연구13(6), 2861-28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