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들의 정신건강, 이대로 괜찮은가?
정신의학신문 | 유길상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최근에 서울 시내 한 초등학교 교사가 학부모의 악성 민원으로 인한 심리적 고통으로 극단적인 선택을 했습니다. 사회 초년생이었던 교사는 청운의 꿈을 펼쳐 보지도 못하고 생을 마감하였습니다. 참으로 안타깝고 애석한 사건이라 생각합니다.
과거에는 일부 교사들의 학생 인권 침해가 있었습니다. 교육이라는 미명하에 육체적 폭력, 심리적 모욕, 인신공격 언행 등이 공공연히 행해졌습니다. 하지만 학생의 인권이 중시되면서 이런 관습들은 많이 사라졌습니다. 현재 학생들은 교내 상담센터, WEE센터, 학교 폭력위원회 등의 교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런 시스템을 통해 학생의 인건은 많이 개선되었습니다.
근래에는 오히려 교권이 침해받는 상황이 급격하게 늘어났습니다. 학생들은 수업 시간에 교사의 지시를 따르지 않고, 방해하기도 합니다. 교사들은 덩치가 큰 학생들에게 욕설을 듣고, 육체적 위협을 느끼기도 합니다. 또한 여교사의 경우 SNS를 통해 성적 수치심을 느끼게 하는 메시지를 받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교사들은 학생뿐만 아니라 학부모에게도 시달리기도 합니다. 몇몇 학생들은 교사들의 말을 와전해서 부모님에게 전달하고, 학부모들은 교사가 자신의 자녀를 차별하였다며 감정적인 항의를 하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학생들 사이의 사소한 다툼도 학교폭력위원회 절차를 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중재하는 과정에서, 끊임없는 항의 전화 통화와 불만 메시지로 시달리기도 합니다.
이제는 학생의 인권에 비해 교사들의 교권 침해와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은 많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교사들이 정신적으로 건강할 때 비로소, 학생들 또한 건강하고 바른 교육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회적으로 교사들의 교권을 보호해 주고, 정신건강을 주기적으로 관리해 주는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학생들은 미성년자이기 때문에 법적인 보호를 받습니다. 그래서 성인에 비해 법을 어기더라도 처벌이 가벼운 편입니다. 교권 침해가 생기는 경우, 법적 처벌을 차지하더라도 재발 방지를 위한 엄격한 교육, 부모에 대한 관리 감독, 학생부 기재를 통한 상급 학교 진학 시 불이익 등의 제재가 필요합니다.
교사들은 학생 혹은 학부모에게 모욕감을 받거나 악성 민원에 시달릴 때는 심리적 고통을 겪습니다. 직업적 회의감과 함께 우울과 불안, 자존감의 저하, 허망함, 자살 사고를 경험합니다. 그 누구에게도 도움받을 수 없다는 느낌이 드는 경우에는 실제로 자살 시도를 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학교 내에는 학생뿐만 아니라 교사들의 정신건강도 돌보는 상담 시스템 또한 필요합니다.
너무 심한 우울감, 의욕 저하, 좌절과 패배감, 자살 사고가 지속된다면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하여 상담 및 치료를 받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쌓인 문제들을 혼자 감당하기 힘들다면 병가를 신청하여 휴식을 취하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교사 또한 마땅히 존중받아야 할 존재로, 수업을 진행하지 못할 정도로 소진되었다면, 휴식을 취할 당연한 권리가 있습니다.
다시 한번, 교사의 안타까운 죽음에 깊은 애도를 표합니다. 이번 계기로 교사들의 교권과 정신건강을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성모사랑 정신건강의학과 의원 | 유길상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