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ADHD와 동반 질환

2023-02-15     맹세리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정신의학신문 | 맹세리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사진_ freepik

 

어느 날 진료실에서 만난 그녀는 청소년기부터 시작된 지긋지긋한 먹토를 멈추고 싶다고 말했다. 40대 초반의 그녀는 자신이 올해 초등학교에 입학한 자녀의 학교 일정과 준비물을 챙기지 못하는 바람에 아이가 반 친구들 앞에서 창피를 겪게 되었다고 자책했다. 본래도 우울감이 있던 그녀는 번번이 자신이 하는 실수를 견디지 못하고 부끄럽게 여겼다. 그리고 그럴수록 먹고 토하는 일이 늘었다.

업무 영역에서는 뛰어난 인재로 평가받았지만, 일 외의 것에서는 모든 게 ‘구멍’이었다고 자신을 평했다. 쉽게 흥미를 잃고 부주의하고, 그래서 친정어머니는 그녀를 나사 빠진 애라고 부른다고 했다. 원인 모를 불안을 견디기 위해 공부에 매달린 덕에 성적은 우수했지만, 노력만큼 집중하기는 어려웠고 친구 관계에서도 늘 겉도는 느낌을 받았다고 했다. 그녀는 말했다. “저는 아무리 철두철미하게 하려고 해도 늘 실수해요. 집중할수록 생각이 흩어져요. 멀티 태스킹은커녕, 항상 뭔가 빠뜨리고 잊은 것 같아 불안하고 무기력해져요.” 그녀와 나는 몇 가지 이야기를 더 해 보았고, 주요 우울장애와 식이장애 그리고 성인 ADHD에 대해 다루어 보기로 하였다.

 

사진_ freepik

 

ADHD는 산만하고 충동적인 남자아이들이나 진단받는 것 아닌가 하는 인식이 있지만 일부의 증상은 성인기까지 이어진다. 여러 연구 결과에서 성인 남성은 물론 여성 또한 ADHD의 증상으로 인해 다양한 어려움을 겪는 것이 보고되었다. 그리고 많은 경우 위의 사례와 같이 다른 정서적 어려움을 주소로 병원을 찾았다가 ADHD의 가능성을 고려하게 된다. 

성인 ADHD에서 다른 진단이 동반되는 경우는 70%를 넘는다고 알려져 있다. 이중 범불안장애, 공황장애 등을 포함하는 불안장애는 성인 ADHD의 절반에서 공존한다. ADHD의 특성에서 비롯되는 부주의함, 충동성, 빈번한 중도 포기와 실패의 경험이 불안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반대로 불안으로 인한 결정의 어려움과 망설임은 ADHD의 증상을 더욱 공고히 하기도 한다.

불안장애만 있는 것에 비해 ADHD와 불안장애가 공존할 때 불안은 더욱 심하고 더 빈번하게 약물치료가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성인 ADHD의 가능성을 놓치지 않고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기분 부전증과 주요우울장애 또한 성인 ADHD에서 흔히 동반된다. 성인 ADHD 환자의 약 18.6%~53.3%는 우울을 겪고 있고, 우울증을 진단받은 개인의 9%~16%는 ADHD를 진단받기도 한다. ADHD와 우울증이 동반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자기 삶에 대한 만족감을 낮게 평가한다. ADHD와 관련된 반복된 실패의 경험과 무쾌감, 불면, 과민성 등이 우울을 심화시키고 지속되도록 하는 것 같다. 

 

사진_ freepik

 

성별의 차이를 보면 ADHD가 있는 남성에 비해 ADHD가 있는 여성의 불안장애와 주요우울장애, 신체 증상과 신경성 폭식증 평생 유병률이 더 높다고 보고되어 있다. 반면에 ADHD가 있는 남성은 약물/알코올 사용 장애, 반사회적 인격 장애와 품행장애를 동반 진단받는 비율이 더 높다. 질환의 차이는 있으나 남녀 모두 동반 질환으로 인한 심리/사회적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을 짐작하기는 어렵지 않을 것이다. 

중요한 것은 ADHD가 있는 성인이 겪는 자기 조절 기능의 어려움을 주의력 장애에서 기인하는 질병 특성으로 인식하기보다는 흔히 ‘고질적인 나의 게으름’으로 여긴다는 점이다.

유년기에 적절한 평가나 치료적 개입을 경험하지 못한 성인 환자는 증상을 개인의 부족함으로 여기고 만성적인 우울과 무기력함, 자기 비난으로 이어지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어려움을 가지고 진료실을 찾게 되는 경우, 혹시 ADHD가 동반된 것은 아닌지 치료자와 함께 탐색해 보는 것도 중요하겠다.
 

____________

참고문헌

1. Katzman, M.A., Bilkey, T.S., Chokka, P.R. et al. Adult ADHD and comorbid disorders: clinical implications of a dimensional approach. BMC Psychiatry 17, 302 (2017).

2. aheem M, Akram W, Akram H, Khan MA, Siddiqui FA, Majeed I. Gender-based differences in prevalence and effects of ADHD in adults: A systematic review. Asian J Psychiatr. 2022 Sep;75:103205.

3. Williamson D, Johnston C. Gender differences in adult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 narrative review. Clin Psychol Rev. 2015 Aug;40:1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