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tor's Mail] 할 일을 제때 해내지 못하는 제가 한심합니다
[정신의학신문 : 홍대 서울 숲 정신과, 염태성 전문의]
사연)
저는 20대 대학생입니다.
지금은 휴학을 하고 있지만 학교에 다닐 때는 과에 친구도 없고 전공도 적성에 맞지 않아 공부를 등한시하곤 했었는데요. 그래서 어떻게든 되겠지 라는 마인드로 과제도 미루다가 그 전날에 벼락치기를 하고 시험 준비도 그런 식으로 하곤 했습니다. 또 과에 친한 동기가 없다 보니 동기들이 많은 전공수업 때는 스스로 위축되기도 했습니다.
지금은 휴학하고 한 단체에서 잠시 일하고 있는데 여기서도 제가 학교에서 했던 행동 양상을 똑같이 보이고 있습니다. 그때와 다른 점이라면 그때는 오로지 저만 망하는 길이였다면, 이곳은 단체 일이기 때문에 단체가 욕을 먹고 단체 내에서 저도 비판을 받는다는 것입니다.
한 달 전부터 준비해야 할 행사가 있으면 '해야 하는데... 해야 하는데... 어떻게 하지' 라는 고민만 하다가, 일주일을 앞두고 그 일주일밖에 안 남았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또 일을 미루다가 결국 3일 전, 이틀 전에야 준비를 끝냅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더 심해져서 이틀이 남았는데도 준비를 끝내지 못했고 그래서 끝내지 못했다는 압박감과 함께 단체 사람들에게 미안함과 비판받을 것에 대한 두려움이 커져 있는 상태입니다. 단체 사람들이 아직 저에게 무엇이라 말한 것은 없지만 그들이 저를 대하는 태도가 화나 있는 것 같고 싸늘해진 것 같다고 느껴져서 조심스럽게 행동하게 됩니다.
저도 제가 어떻게 해야 이러지 않을지 압니다. 미리 준비하고 빨리 시작하면 될 일이겠죠. 그런데 그러지 못하는 제가 너무 한심합니다. 단체 사람들도 이러는 제가 한심하게 느껴지고 화도 나겠죠. 저도 제가 잘못한 일인 걸 가지고 그 결과를 받아들이기 무서워 피하려고만 하는 게 한심하게 느껴집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홍대 서울 숲 정신과 염태성입니다.
스스로 문제점을 파악하고도 바뀌지 않는 모습에 대해 괴로움이 크신 것 같습니다. 주어진 일을 미루는 것은 현대인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문제입니다. 일을 미룬다는 이유만으로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비슷한 행동이 반복되고 말씀하신 것처럼 사회생활에서 지속적으로 문제가 된다면 그 원인에 대해 분석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일을 미루게 되는 가장 큰 원인은 불안인 것 같습니다. 잘 진행해야 한다는 생각 때문에 착수를 못하고, 결국 더 이상 미루면 불가능할 때가 되어서야 일을 시작하여 충분한 시간을 들이지 못하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일을 미루는 습관을 가진 사람들은 오히려 성격이 꼼꼼하거나 완벽주의 성향을 지닌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 경우 내가 가진 역량을 냉정하게 파악하고 일 진행에 필요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또 자신이 가진 고정관념, 가령 일을 완벽하게 하지 않으면 남들에게 비난받을 것이라든지 100%가 아니면 의미가 없다는 생각들을 바꿀 수 있는 대안적 사고를 생각해 보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런 방법들로 스스로의 생각과 행동을 교정하고자 하는 체계적 방법을 인지행동치료라고 부릅니다.
약물치료가 필요한 질환 때문에 일을 미루는 것이 반복되는 경우는 대표적으로 우울증과 ADHD가 있습니다. 우울증으로 일을 미루게 된다면 매사에 허무하고 의미가 없는 생각이 들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경우일 것이고, ADHD는 일의 중요도나 순서를 정리하는 능력이 부족하거나 일 시작을 하더라도 집중이 어려워 남들에 비해 훨씬 많은 시간이 필요하여 약속 일자를 지키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것입니다. 이런 문제들이 뚜렷한 경우 스스로의 노력만으로 증상이 좋아지기는 어려울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평가를 받아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물론 지금 힘들다고 해서 무조건 약물치료를 시작하는 것도 좋은 방법은 아닙니다. 외부 요인에 너무 기대게 되어서 스스로 일어날 수 있는 힘이 점점 약해질 수 있고, 의사의 처방과 무관하게 필요에 따라 약을 과용하면 약물의존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특히 요즘 인터넷에 자주 보이는 자가진단표들의 경우 유용한 것들도 있지만 틀린 정보도 많으니, 이 정보만으로 진단을 확신하고 치료를 시작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
* * *
정신의학신문 마음건강검사를 받아보세요.
(상담 비용 50% 지원 및 검사 결과지 제공)
▶ 자세히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