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tor's Mail] 힘든 현실로 인해 삶의 의미가 사라졌어요
[정신의학신문 : 이두형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사연)
안녕하세요, 저는 지금 학비가 비싼 학교에 다니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부모님이 제 꿈을 응원하셔서 학교에 지원하여 붙었는데요, 학교에 다니는 지금이 입시 준비할 때보다 더 힘듭니다.
만만치 않은 학비에 부모님께 입학 후에는 혼자 힘으로 공부를 하겠다고 말씀드렸는데, 막상 학교에 입학하니 대부분의 친구들이 수도권에서 온 친구들로 시간 날 때마다 고액의 수업을 하는 모습을 보니 마음이 심란해집니다.
주변 친구들의 부모님이 아무렇지 않게 고액 수업을 시켜주고, 부모님과 사이좋게 지내는 학교 친구들을 보면 마음이 씁쓸합니다. 머리로는 학비 감당 자체가 힘들기 때문에 고액의 학원을 못 다닐 거라고 부모님이 벌써 못 박아두셨기 때문에 이해가 되는데, 마음으로는 이미 다양한 학교 기출문제와 많은 수업을 들은 동기들을 보면 불안합니다.
불안한 마음이 커질수록, 엄마와도 사이가 더 안 좋아지고, 집에 있으면 너무 답답하고 숨이 막힙니다. 원래 감정을 솔직하게 말하는 것에 서툰 성격이라 부모님께 솔직하게 털어놓지 못하겠고, 부모님과 한 약속이 있는데 노력을 많이 하지 않아 좋지 않은 성적으로 부모님에게 "이럴 거면 왜 그 학교 갔냐"라는 말을 들을 때마다 숨이 안 쉬어지고 답답한 기분입니다.
불과 1년 전만 해도 되고 싶은 것, 하고 싶은 것, 좋아하는 것, 싫어하는 것이 명확했는데 지금은 제가 무엇을 좋아하고 싫어하는지조차 구분이 안 됩니다. 또한, 식욕도 사라지고, 사람이 누구나 가지고 있는 빛나는 전구에, 저만 혼자 필라멘트가 닳아 전구에 불이 들어오지 않는 듯한 느낌이 듭니다. 전에는 어려운 수학 문제 1개를 골똘히 생각하고 푸는 것이 너무 재밌었고 공부를 하고자 하는 이유가 뚜렷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미래에 대한 기대가 없고 삶에 의욕이 없어서 텅 빈듯한 기분이 듭니다.
기숙사에서 지내다가 집에 들어갈 때마다 바로 집에서 나오고 싶습니다. 집에서 지낼 때, 저도 모르게 부모님께 공격적인 성향으로 바뀌고 부모님께 계속 불만을 품고 말하듯이 합니다. 어떻게 해야 기숙사에서 생활하다가 집으로 갈 때 성격이 예민해지고, 방안의 창문을 뚫고 뛰쳐나가고 싶다는 생각을 그만할 수 있을까요?
답변)
안녕하세요.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이두형입니다. 적어주신 말씀을 차근차근 읽었고 그 마음에 공감하였습니다. 나보다 경제적으로 여유가 많은 사람이 늘 존재할 수밖에 없는 현실 속에서 그러한 마음은 자연스레 찾아올 수밖에 없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우리는 마음에 어떤 의문이 들면 그에 대한 답을 내릴 수 있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의문을 그대로 두면 불안이 찾아오고 답을 내려야만 그러한 불안이 해소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살면서 우리가 느끼는 의문들은 생각만으로 그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없는 경우가 훨씬 많습니다. 그럴 때마다 우리는 찾을 수 없는 답을 찾느라 생각에 매달리고, 그러다 보니 답이 찾아지지 않아 더욱 불안해지고, 불안해질수록 생각에 잠기다 종국에는 막다른 길에 몰리는 듯한 막막함을 느끼곤 합니다.
저에게는 사연자분께서 길을 잃었다기보다는, 그러한 반복되는 불안함과 막막함에 지친 것으로 보입니다. 신체적인 것뿐만 아니라 심리적으로도 에너지가 있습니다. 하루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그 에너지는 한정이 되어 있는데, 답을 찾을 수 없는 생각과 감정에 이를 소진하다 보면 공부든, 여가든, 미래 구상이든, 나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마음의 여력이 없어집니다. 그렇게 지친 마음은 모든 힘과 동기를 잃고 무기력해집니다.
저는 지금 사연자분께서 고민하시는 생각들에 대해 '답을 내릴 수 없을지도 모른다.'라는 관점을 우선 받아들여 보시기를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지금 우리 집의 여유로는 학비는 댈 수 있지만, 고액의 사교육을 진행하기에는 무리가 있고, 그것은 옳고 그름, 맞고 틀림을 떠나 사연자분이나 사연자분 부모님의 잘못은 아닙니다. 지금 현실이 그렇다는 것, 그래서 그런 생각이 들 수 있다는 것, 그리고 그러한 생각이 들 때의 '답답함과 불안까지도' 있을 수 있는 것으로 바라봐 주시면 좋겠습니다.
답답함과 불안에서 어떻게든 벗어나려 하다 보면 그러한 막막함을 유발하는 의문들에 대해 어떻게든 생각으로 답이나 결론을 내려 합니다. 그러나 사연자분께서 느끼셨듯, 그러한 시도는 종종 실패로 돌아가고, 더욱 큰 불안과 답답함을 유발하곤 합니다. 현재 우리의 삶의 현실은 이러하고, 그래서 그런 의문들과 그로 인한 불안이 유발되는 것은, 그리 달갑지 않고 불편하긴 하지만 자연스러운 일임을 마음에 알려주고, 마음을 보듬어 주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현실을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대신, 처음 학교에 들어올 때의 마음을 떠올려 보시면 좋겠습니다. 아마 처음 학교에 입학하셨을 때 그 학교를 택한 이유, 학교를 통해 이루고 싶었던 목표가 있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것을 위해 공부든, 다른 준비든 오늘, 지금 여기에서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지에 대해 떠올려 보시고 지금 실천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일을 시작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비슷한 맥락에서, 아마 집에서 지내기에 불편한 감정이 드시는 것은 부모에 대한 내적인 갈등이 지속되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그 갈등이란, 부모가 나를 도와주는 것에 감사하지만 충분한 도움이 되지 않는 부분에 대한 원망이 공존하여, 마냥 미워하기에도 죄책감이 들면서도 야속한 부분도 분명히 있어 혼란한 마음일 것 같습니다.
그래서 학비를 도움받아 고마운 마음도, 주위에 비해 여유가 있지 못하고 부담을 주어 서운하고 속상한 마음도 있는 그대로 바라봐 주시면 좋겠습니다. 틀리거나 바꾸어야 하는 마음은 없습니다. 모든 마음은 자연스럽게 생겨납니다. 단지 내가 어디에 내 마음의 시선을 두고, 오늘 하루를 어떻게 보낼 것인가만을 내가 결정할 수 있습니다.
삶에는 내가 변화시킬 수 없는 것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 존재합니다. 부모의 재력이나, 마음에 찾아오는 생각과 감정은 내가 마음대로 할 수는 없겠습니다. 다만 그런 상황, 그런 생각과 마음이 드는 나 자신이 '지금 무엇을 할지'는 내가 정할 수 있습니다. 답이 내려지지 않는 생각에 대해 어떻게든 답을 찾고 결론을 내리려는 '생각을 반복하는 대신', 살다 보면 답이 없는 생각과 그로 인한 답답함을 느낄 때도 있다는 사실 자체를 받아들인 채로, 처음 내가 이 학교를 들어왔던 이유를 떠올려 보며, 공부든 다른 무엇이든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가장 작은 것을 하는 하루를 이어가 보시면 어떨까 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
* * *
정신의학신문 마음건강검사를 받아보세요.
(상담 비용 50% 지원 및 검사 결과지 제공)
▶ 자세히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