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적으로 대화하고 경계하는 방법 배워야

주변 사람을 교묘히 괴롭히는 사람과 함께 지내다보면 '이 사람은 정상이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그러한 부류의 사람이 보이는 특징을 통해 내가 그 사람으로부터 정신적 학대를 받고 있는 것은 아닌지 파악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나르시시스트(Narcissist, 자기도취증에 빠진 자)는 알고 보면 자신을 진정으로 사랑하지 않는다. 자신의 모습으로 확신하는 이상적인 이미지를 동경하는 것일 뿐 사실은 수치심에 기반을 두고 있다. 깊이 들어가 보면, 나르시시스트는 그들이 보는 세상의 겉모습과 수치심 기반의 자기 모습의 괴리를 느낀다. 그들은 그러한 수치심을 느끼는 것을 피하기 위해 열심히 일한다. 이 괴리를 채우기 위해 나르시시스트는 관계를 파괴하고 고통을 유발하며 사랑하는 사람에게 상처를 주는 파괴적인 방어기제를 사용한다.

자기애성 인격장애(NPD,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는 자신에 대한 과장된 평가, 인정받고 싶은 욕구, 다른 사람에 대한 공감의 결여를 특징으로 하는 인격장애다.

 

대부분의 나르시시스트의 대처 기제는 학대이다. 그러나 학대적이라고 해서 자아도취적인 것은 아니다. (중독이나 양극성 장애, 반사회적 인격장애, 경계성 인격장애 등 다른 정신적 문제를 겪고 있는 사람들도 학대적일 수 있다.) 학대적인 사람에 대해 진단명이 어떻든 학대는 학대이다. 만일 학대의 희생자라면 가장 중요한 과제는 다음과 같다.

1. 학대의 유형이 무엇인지 분명히 해야 한다.

2. 지원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3. 자신을 강하게 스스로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자기도취적 학대란 무엇인가

학대는 감정적, 정신적, 신체적, 재정적, 영적, 성적인 것들이 있다. 여기에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았던 몇 가지 학대의 예가 있다.

·언어적 학대

·교묘한 조종

·감정적 협박

·지나친 경쟁심

·불필요한 비교, 대조

·고의적인 방해공작

·거짓말

·착취와 객관화(물건취급)

·사생활 침해

·중상모략 및 명예훼손

·폭력적인 행동

·재정적 학대

·고립시키는 행동

 

나르시시즘과 학대의 심각성은 연속체 위에 존재한다. 이는 자신의 감정을 무시하는 것부터 폭력적인 공격까지 범위가 넓다. 전형적으로 나르시시스트는 그들의 행동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고 다른 사람에게 비난을 전가한다. 일부는 자기반성을 하고 죄책감을 느낄 수도 있다.

 

악성의 나르시시즘과 반사회적 태도

악의적, 적대적으로 자아도취적 특징이 심각함을 보이는 일부 사람은 악성 자아도취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악성 자아도취증을 가진 사람들은 죄책감에 사로잡히지 않는다. 그들은 가학적일 수 있고 고통을 주는 것에서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또 그들은 너무 경쟁적이고 원칙이 없어서 반사회적 행동을 보일 수 있다. 피해망상은 그들을 자기 보호 수단으로써 방어적 공격 모드에 놓이게 한다.

 

악성 나르시시즘은 반사회성과 비슷하다. 반사회적 인격장애자는 기형 또는 손상된 뇌를 가지고 있다. 그들은 자기도취적 성향을 보이지만 모든 나르시시스트가 반사회적인 것은 아니다. 그들의 동기는 다르다. 나르시시스트는 이상적인 페르소나를 동경하며 떠받들지만 소시오패스는 자기중심적 의도에 따라 그들이 누구인지를 바꾼다. 그들은 어떻게 해서든 이겨야 하고 사회의 규칙이나 법을 파괴하는 것에 대해서 아무 생각이 없다. 그들은 나르시시스트처럼 다른 사람들에게 붙어 의존하지 않는다. 나르시시스트는 거절당하기를 원하지 않는다. 나르시시스트는 다른 사람의 인정에 의존적이지만 소시오패스는 그들과 상관없는 관계로부터 쉽게 빠져나갈 수 있다. 일부 나르시시스트는 가끔 그들이 목표한 것을 얻기 위해 음모를 꾸미곤 하지만 냉정하게 계획적으로 계산하는 소시오패스보다 반응적이다.

 

만약 나르시시스트와 관계를 맺고 있다면, 상황을 분명히 이해해야 한다. 자신의 자존감과 자신감을 다시 형성할 수 있도록 또 효과적으로 대화하는 방법과 경계를 설정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외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저작권자 © 정신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