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코드라마(psychodrama)는 제이콥 레비 모레노(Jacob Levi Moreno)라는 미국의 유태계 정신과 의사가 창시한 즉흥 연극이자 치료이다.

우리나라 의료 현장에서는 정신치료극이란 이름으로 건강보험 수가가 등재된 집단정신치료(group psychotherapy)로 알려져 있고, 일반 대중에게는 심리극이란 이름이 더 친숙한 것이 바로 사이코드라마이다.

저자는 1995년부터 사이코드라마와 인연을 맺고 지금까지 끊임없이 무대에 섰고, 많은 사람들을 만나왔다. 정신의학신문에 연재되는 내용을 통하여 사이코드라마의 실제를 독자들과 함께 경험하고 나누고자한다.

 

사이코드라마는 이제 주인공 ‘혼자서’ 시아버지를 모시고 살아가는 장면으로 진행되었다. 임신한 며느리에게 일말의 감정-미안함-도 없는 듯한 ‘매우 규범적인’ 시아버지의 행동이 무대에서 보여지고, 관객들의 한숨도 같이 커져갔다. 주인공의 마음을 우리 모두는 느낄 수 있었다. 힘든 주인공에게 필요한 무언가를 사이코드라마 디렉터는 준비하여야만 했다.

 

남편이 해외로 장기 출장 간 상황에서, 며느리 혼자서 게다가 임신까지 한 무거운 몸이다. 일반적으로 이런 상황이면, 시아버지 스스로 아들집 방문을 자제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주인공의 시아버지는 자신의 신념에 충실하게 행동하였고, 아들집에 수개월간 거주하였다.

 

이러한 행동에 대해서 주인공이 힘들어할 수밖에 없지만, 사이코드라마 디렉터 입장에서는 향후 드라마의 진행 방향에 대해서 고민에 잠기게 되었다. ‘주인공의 힘들어 하는 마음을 어떤 방식으로 표현시킬 것인가?’와 ‘주인공이 지금 이 순간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의 문제가 그것이었다.

 

전자처럼 마음을 대변하는 방향으로 극을 진행하면, 주인공이 자신의 감정- 분노, 고통 등-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장면이 무대에서 펼쳐진다. 주인공의 마음을 대변하는 이중자아(분신)을 투입하여 주인공과 연합하여, 갈등 대상(시아버지)에게 평소 하지 못했던 자신의 감정들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도록 이끌어주게 된다. 이때 숙련된 이중자아의 활용은 사이코드라마를 보다 뜨겁게 달아오르게 만들 수 있다.

 

사진_픽셀

필자는 이중자아(분신)를 주인공의 감정을 읽고 증폭시키는 방향으로 주로 사용하는데, 이러한 경우에 긴 문장의 대사보다는 함축적인 의미를 지닌 단 문장으로 이중자아가 말하도록 지시한다. “당신 때문에 힘들어요!”, “아버지가 미워요!”, “엄마가 필요해요!” 등 주인공이 갈등의 대상에게 느끼는 핵심 감정을 큰 소리로 반복하도록 이중자아(분신)에게 요청한다. 대부분의 경우 이렇게 주인공의 핵심 감정을 표현하면, 주인공은 이에 동조되어서 눈물을 흘리거나 자연스레 이중자아(분신)의 말을 따라서 상대방에게 하게 된다. 이는 억압되어온 자신의 감정이 의식화되는 순간이며, 주인공과 참여자들이 카타르시스(catharsis)를 느끼는 지점이기도 하다.

 

후자의 경우처럼, 주인공이 원하는 마음을 만족(충족)시켜주는 방향으로 진행한다는 것은 보다 섬세한 접근이 필요하다. 주인공의 마음을 깊이 헤아리는 디렉터의 통찰이 우선 필요하며, 이를 적절한 장면(scene) 설정과 역할 연기(role playing)로 주인공이 실제로 일어난 일처럼 느껴져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작업을 사이코드라마에서는 ‘잉여현실(surplus reality)을 주인공에게 경험시켜준다’고 말한다. 잉여현실은 ‘사이코드라마를 가장 사이코드라마답게’ 만드는 핵심 원리이자 기법이다.

 

‘일어나지 않은 아니 일어날 수 없는 일이나 행동을 실제로 일어난 것처럼’ 무대 위에서 연기하고 그러한 장면을 만들어가는 것이 사이코드라마에서 잉여현실 작업이다. 이는 상상력을 필요로 하는 작업이며, 욕구 충족을 극대화하는 사이코드라마적 방법론이다.

 

이러한 주인공의 내적 욕구를 공감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인공이 원하는, 필요로 하는 감정을 충족시켜주는 작업은 사이코드라마의 백미라고 할 수 있다. 극의 첫 장면부터 차곡차곡 쌓아온 주인공의 감정을 중심으로 하여, 사이코드라마 디렉터는 주인공의 욕구 충족과 해결을 위한 마지막 ‘핵심 장면’을 준비한다.

 

‘공감적 이해(empathic understanding)’ 또는 ‘공명(resonance)’이 일어나는 단계적 작업을 통하여 점차 핵심 지점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주인공과 관객 그리고 사이코드라마 디렉터 사이에 이해를 바탕으로 한 감정적 연결(connecting)이 무대 위에서 극적으로 드러나는 순간이 바로 ‘잉여현실(surplus reality)’이라고 할 수 있다.

 

사진_픽사베이

이날의 드라마에서는 바로 주인공의 욕구 충족을 위한 잉여현실 작업을 가장 중요한 시점에서 진행하였다. 다시 극으로 돌아가면, 주인공이 시아버지를 자신의 집에서 모시는 장면이 진행되면서 주인공의 내적 갈등의 원인이 보다 명확해졌다. 주인공은 시아버지가 집에 와계신 것보다 이러한 상황을 만든, 아니 방치한 ‘남편에 대한 원망’이 더 큰 것으로 느껴졌다. 이를 해소하는 방법으로 디렉터는 잉여현실의 상황을 주인공에게 제시하였다. 남편이 주인공 즉 아내의 전화 연락을 받고 임시 귀국을 하는 상황을 설정하고, 장면으로 들어갔다. 우유부단하였고 아버지의 행동에 아무런 이의를 표하지 않았던 아들(남편)이 집으로 돌아와, 아내를 위해서 아버지에게 용기를 내어 이야기하는 ‘반전된 상황’으로 극을 진행하였다. 믈론 이 상황은 실제로 일어나지 않은 바로 잉여현실이었다.

 

이러한 ‘작은’ 반전이 ‘큰’ 변화를 일으켰다. 나를 지켜주지 못한다고 생각하며 원망의 대상이었던 남편이 나(주인공)를 위하여, 자신의 아버지에게 직접 얘기하고 시아버지가 스스로 집을 나서서 다른 형제의 집으로 가는 상황으로 진행되었다. 비록 가상의 잉여현실 상황이었지만, 주인공에게는 큰 만족과 해결의 감정을 전해주었다. 남편을 바라보는 아내(주인공)의 시선이 ‘많이’ 부드러워졌다.

 

극이 끝나고 주인공과 소감을 나눌 때, 주인공은 자신의 이러한 변화된 마음을 관객들에게 이야기해주었다. “실제 남편이 아니었지만, 정말 실제로 일어난 일 같았다. 남편이 나를 위해서 시아버지에게 이야기하는 상황을 보면서, 내 마음의 원망이 많이 사라졌다. 신기하다. 마음이 후련하다.”

 

사진_픽셀

이것이 사이코드라마의 힘이다. 주인공의 내적 욕구를 공감해주고 이를 바탕으로 장면을 만들고 진행시켜 나간다. 겉으로 표현되는 욕구와 드러나지 않는 숨겨진 욕구를 구분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인공의 숨겨진 욕구를 자연스레 무대 위로 드러내도록 이끌고, 심리적 해결의 방법으로 잉여현실을 이용한 욕구충족의 장면을 만들어간다. 이 모든 과정은 주인공의 자발적 참여와 관객(집단원)의 공감적 이해를 바탕으로 진행된다.

 

우리는 사랑과 인정에 목말라있다. 이를 무대 위에서 실현시켜주는 작업이 다름 아닌 사이코드라마라고 할 수 있다.

 

 

이전 기사 보기:

사이코드라마는 무엇인가? - 만족- 1 -

사이코드라마는 무엇인가? - 만족- 2 -

 

 

저자소개

사이코드라마 수퍼바이저, 정신과 전문의
現 솔빛정신건강의학과의원 및 한국에니어드라마연구원 원장
現 한국임상예술학회 회장 및 現 한국임상사이코드라마연구소 대표
現 은평구민과 함께 하는 심리극 월간 공연 ' 나를 찾아떠나는 여행' 연출
前 '심리극회 거울과 가면' 및 'ACT심리극연구소' 대표 
EBS '가족이 달라졌어요', MBC '사주후愛', 한국직업방송 '新 직업의 발견' 등 다수 참여

 

 

저작권자 © 정신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