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의학신문 : 한경호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새해의 시작은 항상 추위가 절정인 한겨울에 시작합니다. 이처럼 날이 추워지고, 해가 일찍 지는 겨울이 다가오기만 하면, 감정의 변화와 우울함에 빠지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를 정신의학에서는 계절성 정서장애라고 부르는데요. 본 기사에서는 계절성 정서장애의 핵심적인 사항에 대해 문답 형식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Q1. 계절성 정서장애란?

계절성 정서장애(Seasonal Affective Disorder: 이하 SAD)는 해마다 일정한 시기에 우울증상이 시작되고 회복되는 기분장애의 한 종류이며, 대부분 늦가을 및 초겨울에 시작해서 봄이 되면 사라지는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겨울형 SAD). 매우 드물지만 여름에 시작해서 겨울에 끝나는 경우도 있습니다(여름형 SAD).

현재 정신의학에서 널리 쓰이는 진단기준인 DSM-V에서는 우울장애의 다양한 특징을 설명하는 명시자 중 ‘계절성 동반’이라는 항목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Major Depressive Disorder with Seasonal Pattern).
 

사진_픽사베이


Q2. SAD는 어떠한 특징적인 증상들이 있나요?

SAD는 우울증상이 주이며, 고유한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겨울형 SAD>

- 심한 무력감
- 과다수면
- 과식
- 체중증가
- 단것에 대한 욕구 증가
- 마치 동면하는 것 같은 대인관계 및 사회적 단절

<여름형 SAD>

- 체중감소와 식욕저하
- 불면
- 초조
- 안절부절못함
- 불안
- 공격적인 행동 증가

 

Q3. SAD는 주로 어떤 사람들에게서 잘 나타나나요?

- 여성: 남성에 비해 4배 정도 더 많이 경험합니다.

- 고위도: 적도에서 멀고 극지방에 가까운 곳에 거주할수록 유병율이 높아집니다.

- 가족력: 우울증이 있는 가족 구성원이 있는 경우 더욱 발병 가능성이 높습니다. 

- 젊은 연령: 20-30대 연령에서 주로 나타납니다.

 

Q4. SAD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기분/수면/식욕 등을 조절하는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의 이상, 일조시간이 줄어들면서 생체리듬을 조절하는 호르몬인 멜라토닌의 과잉생산, 비타민 D 부족 등이 유력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Q5. SAD 예방 및 치료는 어떤 것이 있나요?

- 항우울제: 주로 선택적인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SSRI) 계열의 약물을 복용합니다. 

- 광치료: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고, 실내 빛보다 약 20배 정도 밝은 10,000 LUX 정도의 빛을 내는 Light box를 이용하여 매일 아침 20-60분 정도 쬐어주고, 겨울이 끝날 때까지 유지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 인지행동치료: 주로 인지교정을 통해 사고-감정-행동에 변화를 주고, 행동활성화에 목표를 둡니다. 

- 비타민 D 복용: 단독으로 효과가 부족하여, 위에서 언급한 치료들과 함께 하는 것을 권유합니다. 

- 건강한 일상생활(Life Style Modification): 건강한 식사와 규칙적인 생활을 하도록 해야 하며, 운동과 충분한 휴식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긍정적인 사람들과의 대인관계 유지도 SAD를 이겨내는 데 중요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드리는 당부의 말씀

실제 진료현장에서는 SAD를 앓고 계신 분들보다는 겨울이 되니 평소와는 다르게 우울감(우울장애가 아닌)이 생겨서 내원하는 경우가 훨씬 많습니다.(‘Winter Blue’라고 합니다.)

이러한 경우, 반드시 약물 치료를 하지 않아도 되며,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와의 치료적 대화(‘Talk Therapy’)와 위에서 언급한 여러 대처 방법이 있다는 점을 기억하신다면 SAD를 올바로 이해하고 Winter Blue에서 회복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참고문헌

1. 미국정신과의사협회 https://www.psychiatry.org/patients-families/depression/seasonal-affective-disorder

2. 미국립정신보건원 https://www.nimh.nih.gov/health/topics/seasonal-affective-disorder/index.shtml

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저작권자 © 정신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